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 "원통형 개발 진전...흑자 전환은 불확실"

CES 2024 찾은 최재원 부회장
"원통형 배터리 개발 진전...각형 완료
폼팩터·양극재 다변화해 고객사 확대"

"상장 시점 예상 어려워...때 되면 빨리"
흑자 전환 달성엔 "외부여건 썩 좋지 않다"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오른쪽)이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LG전자 부스에서 관계자로부터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알파블’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SK온 제공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이 "원통형 배터리 개발이 꽤 많이 (진전)됐다"고 말했다. 이제까지 파우치형 배터리만 생산해온 SK온은 공급선 확대를 위해 각형과 원통형 배터리까지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다.

SK온의 상장 시점에 대해선 "당장 예상하기 쉽지 않다"며 "시기가 오면 되도록 빨리 추진하겠다"고 했다. 최 수석부회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통형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며 "고객마다 요구하는 사양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해 3가지 폼팩터(형태)를 다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형 개발은 이미 완료됐고 원통형도 고민하다가 개발을 (상당 수준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양산 시점에 대해선 "고객들이 원하는 시기에 맞출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SK온은 작년 3월 각형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하고 수주 작업을 벌이고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테슬라가 양산에 성공해 '게임 체인저'로 떠오른 4680(지름 46㎜·길이 80㎜) 규격의 중대형 제품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 수석부회장은 현재 하이니켈 배터리만 생산하고 있는 SK온이 LFP(리튬·인산철)를 포함한 양극재 다변화에도 나설 것을 밝혔다. 그는 "케미스트리도 여러 가지 다 개발해 고객 기반을 넓히려고 한다"고 말했다.

최 수석부회장은 SK온의 올해 흑자 전환 목표 달성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많이 노력하고 있는데 지금 자동차 시장 자체가 썩 좋지 않아서 원하는 만큼 결과가 나올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외부 여건이 썩 좋지 않아서 지금은 (단언하기) 힘들다"며 "올해는 내실을 다지는 기회로 삼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SK온의 기업 공개(IPO) 계획에 대해선 "금융 시장과 SK온의 준비 상황 등을 모두 고려해볼 때 지금은 시기를 예상하기 쉽지 않다"며 "가능한 시기가 오면 되도록 빨리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CES를 찾은 최 수석부회장은 현장을 둘러본 소감에 대해 "자동차와 배터리 관련 기술을 주로 봤는데 산업 자체가 빨리 변한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는 인텔 모빌아이를 시작으로 존디어, 현대자동차, 두산, LG, 파나소닉, 삼성 등을 찾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최신 모빌리티 및 친환경 기술을 점검했다.

그는 "(SK온에서도) 제조공정 뿐 아니라 모든 곳에 AI를 적용하기 위해 노력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라스베이거스=김형규 기자 binther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