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 급한 바이든, '두 개의 전쟁' 출구 모색

'태세 전환' 시동거는 美

"전쟁 길어지면 대선에 도움 안돼"
우크라 완승 대신 '종전협상' 중점
영토 일부 러에 넘길 가능성 포함
이스라엘엔 '저강도 장기전' 압박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목표를 ‘러시아 격퇴’에서 ‘방어 강화’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크라이나와 논의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또 다음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이스라엘 방문에 맞춰 하마스를 상대로 한 이스라엘의 전략을 고강도 공세에서 저강도 장기전으로 바꾸는 것을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내년 대선을 앞두고 ‘두 개의 전쟁’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우크라전 전략 전환 논의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7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서 조용히 전략을 바꾸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그동안 바이든 행정부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몰아내는 데 주력해왔지만 이제는 좀 더 방어적인 태세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미국 관리 등을 인용해 “지금까지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완전히 승리하도록 지원했다면 앞으로는 종전협상에서 우크라이나의 입지를 개선하는 쪽으로 초점을 옮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협상은 우크라이나의 일부를 러시아에 내주는 것을 의미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바이든 행정부 고위 관리는 폴리티코에 “공식적으로 백악관은 러시아 군대를 우크라이나에서 완전히 몰아내려는 우크라이나의 목표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면서도 “실제론 성공적이지 못한 우크라이나의 반격 작전에서 벗어나 러시아군을 상대로 더 강력한 방어를 펼치는 형태로 병력 등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방공 시스템을 강화하고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국경에 철조망과 대전차 장애물 등을 설치해 요새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바이든 행정부는 우크라이나 지원에 소극적인 미 의회 상황을 감안해 우크라이나 자체 방위산업을 빠르게 부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설명했다.

‘하마스 제거’ 비현실적 여론 확산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블링컨 장관은 다음달 5일께 이스라엘을 방문할 계획이다. 지난 10월 하마스의 침공 이후 다섯 번째 방문이다. 블링컨 장관은 이번에 이스라엘 서안지구도 들를 예정이며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도 찾아 중동 상황 전반에 대해 대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지상전을 고강도 공습에서 저강도 장기전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해왔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이스라엘을 방문한 데 이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측근인 론 더머 전략 장관이 워싱턴DC를 찾아 이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스라엘 문제와 관련, 민주당 내부 지지층 분열에 직면했다. 하마스를 완전히 제거하겠다는 이스라엘의 목표가 비현실적이라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이스라엘군은 하마스를 제거하겠다지만 그 목표가 비현실적이거나 불가능하다는 시각이 점점 늘어나 이스라엘의 능력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바이든 행정부는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면 내년 대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민주당 선거 전략가인 애덤 젠틀슨은 “해외에서 위기가 고조되면 투표장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유권자들은 이슈 자체에는 관심이 없지만 리더십을 보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