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로봇케어사업 관내기업 배제에 중국산 부품 '논란'

경기 성남시가 로봇케어 공모사업을 벌이면서 관내 기업을 배제하고,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를 선정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26일 성남시 등에 따르면 올해 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스마트빌리지 사업의 일환으로 100억원 규모의 ‘로봇을 활용한 주민생활시설 돌봄 및 교육서비스 확산’ 사업을 추진 중이다. 로봇을 활용해 경로당과 아동복지시설에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보급하는게 목표인 사업이다. 시는 과기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공모를 벌이는 과정에서 비슷한 로봇 사업을 영위하는 A업체에 자문과 문서 작성 등 필요한 자료를 요구했고, 관련 공모를 벌였다.

하지만 시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건 A사 포함된 컨소시움이 아닌 B업체로 부터 로봇을 납품받는 컨소시움이었다.

A업체는 즉각 성남시에 민원을 제기했다. B업체의 돌봄로봇은 애초 시가 제안요청서(RFP)에서 요구한 스펙에 미치지 못할뿐더러, 관내 기업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A업체 관계즈는 “우선협상대상자가 제안한 로봇은 대만과 중국산”이라며 “지역사회의 디지털 전환과 지역 내에서 선도적 신규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사업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B업체 로봇에는 인지훈련 콘텐츠, 건강정보 수집·관리 기능, 안면인식과 건강측정 연계 등의 기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성남시는 이에 대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 위원들이 객관적으로 사업계획서를 검토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것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기술협상 진행 중으로 제안요청을 충족할 수 있는 로봇 구성품은 우선협상대상자가 추후 다양한 방안으로 제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내 기업, 외산제품을 납품하는 게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해당 사업은 지방자치단체 입찰 기준에 따른 지역제한 요건이 없으며 외산 로봇 납품에 대한 제한도 없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