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강세에 베팅하는 기관투자자들…BOJ 총재 "물가 안정시 정책 변경 검토"

사진=AFP
글로벌 기관투자자들 사이에서 엔화 강세에 대한 베팅이 늘고 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이 금리를 인하하며 일본은행이 내년 금융완화 정책 기조를 바꿀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를 인용해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지난주 엔화 포지션이 지난 5월 이후 처음으로 순매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CFTC에 따르면 지난 19일까지 한 주간 헤지펀드들의 엔화 약세 베팅도 소폭 감소했다.달러·엔 환율은 25일 달러당 142.34엔으로 이달 들어 3.95% 하락했다. 그만큼 엔화 가치가 올랐다는 의미다. 지난 14일에는 장중 달러당 140엔대로 떨어지며 지난 7월 말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다.

앞서 지난 19일 일본은행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연 -0.1%인 단기금리와 연 0±1%인 장기금리를 동결했다. 지난 7월과 10월 회의에서 장기금리를 사실상 인상하며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출구 전략을 모색하던 기조를 중단한 것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일본이 내년 초 통화정책 기조를 다시 전환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내년 미 중앙은행(Fed)과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 등 주요국 은행들이 인플레이션 둔화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미국의 금리 인하와 일본의 금리 인상이 맞물리면 양국의 금리차가 지나치게 빠르게 좁혀져 일본은행의 통화정책에 변수가 될 수 있다. 때문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Fed가 금리 인하에 나서기 전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본은행의 다음 금융정책결정회의는 내년 1월 23일과 3월 19일이다. 스미모토 미쓰이 은행의 수석 외환 전략가인 스즈키 히로후미는 “1월 회의에서 일본은행이 기조를 바꿀 수 있다는 전망에 자산운용사들은 엔화 매수 포지션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25일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도 향후 정책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놨다. 그는 이날 게이단렌 강연에서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 가능성이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물가 목표(2%)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가능성이 충분히 높아지면 정책 변경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