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장 이후 학생들의 부정행위 증가 우려는 과장"

美 스탠퍼드대 연구 "고교생 60∼70% 경험"…과거와 비슷
"AI에 대한 접근 방식 따라 많은 변화…적절한 교육 필요"
챗GPT 등장 이후 학교에서 커지고 있는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는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NYT)와 CNN 등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올해 40개 이상의 미국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교 과제나 시험 등에서 AI를 이용해 부정행위를 해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은 60∼70%였다.

이는 그동안 학생들의 부정행위와 관련한 조사 결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실제 2002년∼2015년 고등학생 7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부정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 64%였다. 스탠퍼드 교육대학원 데니스 포프 박사는 "그동안 AI 모델 등장으로 학교에서 부정행위가 증가할 것이라는 공포가 있었다"며 "그러나 우리는 데이터에서 그런 변화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번 조사는 익명으로 했다"며 "학생들은 매우 솔직하게 설문에 답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조사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퓨리서치센터가 올해 9월 26일∼10월 23일 13∼17세 1천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챗GPT를 학업에 이용해봤다는 비율은 응답자의 19%에 불과했다.

챗GPT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67%였지만,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는 비율도 33%로 챗GPT에 대한 인식은 크게 높지 않았다.

또 많은 학생은 새로운 주제를 연구하는 데 챗GPT와 같은 AI 사용을 허용해야 하고, 에세이를 쓰는 데에는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약 70%가 새로운 주제를 연구하는 데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 반면, 에세이 작성에 허용돼야 한다는 응답은 20%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대다수 학생이 AI를 학교 공부와 과제 수행에 필요한 시간 단축의 도구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AI를 진정으로 배우고 싶어 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부정행위를 하는 이유로는 과목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과제를 할 시간이 부족하며, 성적을 잘 내야 한다는 압박감 등이 꼽혔다.

이에 스탠퍼드대 빅터 리 교수는 "AI를 단순히 모든 것을 훼손하는 유혹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다르게 볼 필요가 있다"며 "학교가 AI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챗GPT 도입 이후 미국 학교에서는 처음에는 사용을 금지했지만, 최근에는 많은 학교에서 AI 도구 사용을 장려하고 교육하고 있다고 CNN은 소개했다.

미 테네시주 밴더빌트대 컴퓨터사이언스 줄스 화이트 교수는 "AI는 무시할 수 없는 기술"이라며 "AI는 수요가 있는 모든 산업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있지만, 표절을 하려는 학생은 위키피디아나 구글 검색과 같은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서 "대신 학생들에게 AI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면 훨씬 더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