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1등급 96.5%가 이과…올 수능 역대급 '문과침공'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11점差
자연계열 경쟁력 높아져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대부분이 ‘이과’ 학생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1등급 중 선택과목으로 ‘미적분’ ‘기하’를 선택한 학생이 96.5%를 차지했다. 인문계열이 주로 선택하는 ‘확률과 통계’를 본 수험생은 1등급 중 3.5%에 불과했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시작된 후 선택과목으로 미적분과 기하에 응시한 학생들을 이과생으로 구분한다. 올해 수학 1등급의 이과 쏠림은 통합수능 도입 후 가장 심각하다. 2022학년도(86.0%)와 2023학년도(81.4%)에는 90% 이내였다.범위를 1~3등급으로 넓혀도 전 구간 자연계가 인문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등급에서는 자연계 비중이 71.7%, 3등급은 71.4%였다.

전문가들은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크게 벌어진 것이 이 같은 불균형을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이번 수능에서 확률과 통계(137점)와 미적분(148점)의 표준점수 차이는 11점이다. 2022학년도와 2023학년도의 3점이던 것과 비교하면 네 배 가까이 늘었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아지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올라간다. 똑같이 만점을 받아도 선택과목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표준점수가 달라진다.

종로학원은 “2024학년도 수능에서 확률과 통계를 만점 받았어도 미적분, 기하에서 이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받은 학생이 6835명이나 된다”며 “선택과목 간 유불리가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커졌다”고 분석했다.이 때문에 이과 학생들이 인문계열 학과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이 거세질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몇몇 대학이 아니라 1~3등급 전 구간에서 광범위하게 교차지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인문계 학생, 특히 변별력이 높아진 국어에서 경쟁력이 없는 문과 수험생들은 대학 결정에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