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싱크탱크 "우호적 협상 통해 요소 문제 해소 가능"

중국 관영 싱크탱크가 최근 중국 당국이 요소 수출 통관을 보류하면서 한국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호적 협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중국 외교 분야 싱크탱크인 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 아태연구소 특별초빙연구원은 6일 관영매체인 환구시보 기고문에서 “2년 전 '요소 부족' 상황에서 중국은 한국의 요청을 받고 약 1만8000t의 요소를 긴급 배정해 수출함으로써 한국의 급한 일을 해결했다"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양국의 우호적 협상을 통해 한국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썼다.샹 연구원은 "중국은 요소 수요가 큰 국가라 요소 생산은 원자재 공급과 가격 변동 등 요인의 영향을 받기 쉽다"며 "중국산 요소는 당연히 국내 수요를 우선 충족해야 하고, 부득이한 수출 통제 조치는 주로 국내 시장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로 인해 한국 수출에 영향을 주는 것 역시 중국이 원하는 것은 아니다"며 "정치화된 억측을 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요소 부족' 자체엔 정치적인 이유가 전혀 없다"면서도 "다만 현재 세계가 직면한 진영 대결, 지정학적 충돌과 아무런 관련도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한국 외교 정책에 전환이 나타나 '친미소중(親美疏中·미국과 가깝고 중국과 멀어짐)' 경향을 보였다"며 "중국과 관련된 일부 민감한 문제에서 충돌을 불러일으켜 중한 관계가 냉랭해졌고,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신뢰에도 어쩔 수 없이 영향을 줬다"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는 이날 별도의 기사를 통해서도 "요소 수출 정책 조정은 정치적 고려에서 나온 게 아니고, 국내 시장 공급 보장에 기인한다"는 소식통의 언급을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번 중국의 수출 조정은 전 세계를 향한 것인데 지금 한국만 고도로 민감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