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버스 와이파이, LTE에서 5G로 4배 빨라진다

전국 16개 지자체 85.6% SKT가 담당해 5G 전환 완료
사진=SK텔레콤 제공
전국 시내버스 내에서 제공되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기존 LTE에서 5세대(5G)로 전환돼 속도가 평균 4배 빨라진다.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한 버스공공와이파이 5G 전환 사업의 2,3차 사업을 맡아 전국 16여개 지자체의 시내버스 와이파이 장비 구축을 이달 초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관련 기관과 업계가 참여한 가운데 지난 5일 국립고궁박물관 내에서 개통 행사를 갖고, 5G 버스와이파이 서비스 정식 개통을 선언했다. 버스공공와이파이 5G 전환 사업은 전국 시내버스에 제공중인 LTE 백홀 기반 와이파이 서비스를 5G로 전환해 국민의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체감품질 강화를 위해 지난 2019년 5월부터 추진됐다.

NIA가 전국 지자체 수요 조사로 확정된 전국 16개 지자체의 총 2만9100대의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진행됐따. SK텔레콤은 이중 85.6%인 2만4900대를 2020년 11월부터 5G 백홀 기반 와이파이6 또는 6E(Echo) 장비(AP)로 교체했다.

이번 5G 전환으로 인해 버스와이파이는 기존 4세대 LTE 백홀 대비 약 4배 이상 빠른 300~400메가비피에스(Mbps) 급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회사 측은 향후 더 빠르고 편리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해 이번 와이파이6에 비해 약 2.4배 향상된 속도를 제공하는 와이파이7 기술을 활용한 5G 와이파이 AP개발 및 시범 서비스를 NIA와 진행할 예정이다.신용식 SK텔레콤 커넥티비티 CO장(부사장)은 “기존 LTE 기반의 버스공공와이파이서비스를 5G로 전환해 국민들의 서비스 접근성과 체감 품질 강화에 기여하게 돼 기쁘다”며 “한국 1등 이동통신사로서 대국민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익적 차원의 사업도 적극 참여하여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공공와이파이 개통식을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일대에서 진행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황종성 NIA 원장 등이 참석해 유선 기반 공공와이파이를 시연하고 시내버스 와이파이 5G 개통식을 가졌다.

개통 행사에서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된 버스내에서 와이파이 실제 속도를 측정하고 홍보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시내버스 와이파이의 빨라진 속도를 확인했다. 특히 버스공공와이파이 주 이용층과 장관이 직접 그룹 영상통화를 통해 우수한 5G 백홀 기반 와이파이 서비스를 체험했다.
사진=SK텔레콤 제공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