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위성의 100배 성능…탱크 번호판도 본다

한국 첫 정찰위성 발사 성공
북핵·미사일 감시 역량 강화

해상도 30㎝…사람 동선 파악
"北이 초등학생이면 우린 대학생"

운용 점검 후 내년 상반기 전력화
'고성능 레이더' 4기 추가로 발사
우리 군의 첫 독자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지난 2일 목표 궤도에 안착한 뒤 지상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북한 역시 지난달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우주궤도에 진입시켜 남북 우주 경쟁이 본격화된 모습이다. 하지만 해상도 측면에서 우리 군의 정찰위성은 북한보다 100배 이상 뛰어나 비교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북한 정찰위성이 초등학생이라면 우리는 대학생”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군은 2025년까지 정찰위성 네 기를 더 쏘아 올려 전력화하겠다는 계획이다.

軍 “궤도 안착 후 지상국과 교신 성공”

우리 군의 첫 독자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 발사체 ‘팰컨9’이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기지에서 발사되는 모습. 스페이스X 제공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이 한국시간으로 2일 오전 3시19분(현지시간 1일 오전 10시19분)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국방부에 따르면 1호기는 발사 약 14분 뒤인 오전 3시33분께 발사체로부터 정상 분리돼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

이후 1호기는 발사 6시간10분이 지난 오전 9시47분 국내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 성공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으로 위성의 상태 점검과 자세 보정, 촬영 장비 최적화 등을 거쳐 전력화되기까지 4~6개월 정도 걸린다”고 설명했다.

군이 이번에 쏜 위성 1호기는 전자광학 및 적외선 장비를 장착한 저궤도 위성이다. 주간뿐 아니라 야간에도 사진·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물체에서 발생하는 열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 엔진 지상 연소시험 등을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북한이 지난달 21일 발사한 정찰위성 만리경 1호와 비교해 해상도에서 현격한 성능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다. 1호기의 해상도는 30㎝급이다. 가로세로 30㎝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는 뜻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상 30㎝ 물체를 식별한다는 것은 3m 크기 장갑차에 적혀있는 넘버링까지 판독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북한의 군사 동향을 세밀하게 파악하는 게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반면 북한 정찰위성은 크기, 무게 등으로 미뤄봤을 때 3~5m급 해상도로 추정된다. 군 관계자는 “위성 해상도가 1m 이상이면 활용성이 매우 떨어진다”며 “북한의 정찰위성 발표를 성공으로 볼 수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달 30일 “만리경 1호가 한반도 일대와 괌·하와이 주요 미군기지, 미국 백악관·펜타곤(국방부) 등 한·미의 핵심 시설을 촬영했다”고 주장했지만, 사진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초소형 위성도…2027년 모델 선정”

이번에 발사한 1호기는 군이 계획 중인 정찰위성 사업(425사업) 가운데 첫 번째 위성이다. ‘425사업’은 북한의 주요 전략 표적에 대한 감시·대응을 위해 다섯 기의 독자 정찰위성을 확보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조2000억원에 달한다. 군 당국은 내년 4월부터 2~5호기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도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다. SAR 위성은 레이더에서 발신한 전파가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 등을 계산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기상 여건과 관계없이 촬영할 수 있는 게 강점이다.

군은 425사업과 별도로 무게 100㎏ 안팎의 ‘초소형 정찰위성’ 사업도 민간 방산업체들과 하고 있다. 다섯 기 위성이 모두 실전 운용돼도 약 2시간에 한 번씩 한반도를 관측할 수 있어 ‘공백’을 채울 위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대북 감시 공백을 30분 이내로 줄이기 위해 초소형 위성을 44기 만들어 활용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2027년께 최종 모델이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