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팅닷컴] 하반기 경기침체 리스크 제시하는 최고경영자들, 과연 옳은 판단일까?

By Damian Nowiszewski

(2023년 11월 23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근 13F 공시 서류에서 워런 버핏의 최근 보유 자산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애플은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가 여전히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이다. 반면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워런 버핏은 시장 침체에 대비하고 있을까? 블랙 프라이데이 맞이 인베스팅프로 최대 55% 할인!
11월 14일 버크셔 해서웨이(NYSE:BRKb)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1억 달러 이상의 가치로 거래되는 주식에 대한 포트폴리오 세부 정보를 담은 13F 공시 서류를 제출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13F 공시를 자세히 살펴보면 포트폴리오의 50%를 구성하는 애플(NASDAQ:AAPL)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금 보유량은 1,572억 달러로 전기의 1,474억 달러 대비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렇게 막대한 현금 보유는 워런 버핏이 미국의 경기 둔화 또는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잠재적 시장 기회에 대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워런 버핏과 버크셔 해서웨이는 어떤 전략적 움직임 보였나? 기록적인 현금 보유량은 주로 배당금과 일부 포지션의 축소로 인한 자본 이득에서 비롯되었다. 지난 분기에만 50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각해 지난 12개월 동안 총 440억 달러의 현금을 확보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제너럴 모터스(NYSE:GM), 프록터앤드갬블(NYSE:PG), 존슨앤드존슨(NYSE:JNJ), 휴렛팩커드(NYSE:HPQ), 아마존(NASDAQ:AMZN) 등을 매도했다.가장 눈에 띄는 움직임은 셰브론(NYSE:CVX) 보유분 10.45% 축소와 액티비전 블리자드(NASDAQ:ATVI) 주식 전량 매도였다. 한편, 리버티 미디어 포뮬라 원(NASDAQ:FWONA),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홀딩스(NASDAQ:BATRA), 시리우스 XM 홀딩(NASDAQ:SIRI)의 주식은 새롭게 매입했다.

이달 초 버크셔 해서웨이의 분기 실적 발표에서 주당순이익과 매출 모두 긍정적인 서프라이즈를 나타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이전 실적
출처: 인베스팅프로
주가 관점에서 볼 때 이번 실적 발표는 주식 수요를 지지했으며,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는 역사적 정점이었던 올해 최고치를 자신감 있게 넘보고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 차트
가장 가까운 지지선은 버크셔 해서웨이 B 주식의 373달러 수준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애플, 여전히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보유 종목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 중 50%는 미국의 거대 기술 기업 애플이 차지하고 있다. 워런 버핏은 애플을 계속 매력적인 종목으로 평가한다. 그 다음으로는 뱅크오브아메리카(NYSE:BAC),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NYSE:AXP), 코카콜라(NYSE:KO)와 같은 유명 브랜드가 높은 보유 비중을 차지한다.
워런 버핏의 최대 보유 종목
출처: 인베스팅프로
포트폴리오 구조를 보면 성숙한 가치 지향 기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 전략이 매우 좋은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워런 버핏의 섹터 편중
출처: 인베스팅프로
워런 버핏의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지금은 그런 질문에 답을 찾기가 어렵지만, 광범위한 시장에서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다음 주요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애플 주가 조정에 유의
애플 주가는 3주 이상 역동적인 상승 움직임 내에서 움직이고 있다. 다음 목표 영역은 200달러 바로 아래 위치한 사상 최고치다. 그러나 애플에 대한 적정가치는 최대 14%의 하락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164달러 부근의 지역적 지지선 근처에서 반등하는 것에 해당한다.
애플의 적정가치
출처: 인베스팅프로
이는 상승 추세와 연결되는 관점에서 볼 때 지금은 호의적인 상황이며, 상승 지속이라는 관점에서 훨씬 더 좋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가 될 것이다.

해당 기사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기사 원문 보러가기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