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못 내는 기업·가계↑…은행 '깡통대출' 3兆

4대銀, 3분기 무수익여신 잔액
9개월 만에 30% 가까이 늘어
고금리 여파로 원금은커녕 이자도 갚지 못하는 가계·기업이 늘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소비 위축으로 부도 처리되거나 파산·청산 절차에 들어간 기업의 ‘깡통 대출’도 속출하고 있다.

20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이 공시한 올해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해 12월 2조2772억원에서 올해 9월 2조8988억원으로 27.3% 증가했다. 같은 기간 4대 은행 총여신이 1295조7838억원에서 1334조2666억원으로 3.0%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가파르다. 총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0.18%에서 0.22%로 높아졌다.무수익여신은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대출을 의미한다. 은행들은 3개월 이상 원금 상환이 연체된 대출에 이자 미납 대출을 반영해 무수익여신 잔액을 산정하는데, 보통 고정이하여신(회수 불가능한 부실채권)보다 더 악성으로 취급한다.

무수익여신은 가계보다 기업 대출에서 더 심각했다. 4대 은행의 기업대출 무수익여신은 작년 12월 1조5310억원에서 올 9월 1조9754억원으로 29.0% 증가했다. 일부 은행에선 50%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이 7462억원에서 9234억원으로 23.7%로 늘어난 것보다 증가 폭이 크다.

최근 기업들이 경기둔화 등의 여파로 대출을 갚지 못하고 한계상황에 몰린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9월 말 전국 어음 부도액은 4조1569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214.9% 급증했다. 1∼9월 월평균 전국 어음 부도율도 지난해 0.08%에서 올해 0.25%로 뛰었다. 법인 파산도 증가 추세다. 법원통계월보 등에 따르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올 3분기 1213건으로 작년 3분기에 비해 64.4% 늘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