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승 '롤드컵' 역대급 흥행…글로벌 시청자 1억명 육박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고척돔 결승전 표, 수백만원 거래
T1, 4번째 우승컵 '역대 최다'
이상혁 "많은 분 지켜봐줘 감사"
< 광화문서 1만5000여명 응원전 > 1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1만5000여 명이 모여 ‘2023 리그오브레전드(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을 응원했다. e스포츠 응원전이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병언 기자
19일 서울 고척동 고척스카이돔은 ‘2023 리그오브레전드(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을 보기 위해 몰려든 인파로 북적였다. 오후 7시 경기를 시작하는데 2시간 전부터 행사장 앞에 긴 줄이 늘어섰다. 1만8000여 명이 몰려든 이곳에선 함성이 쉴 새 없이 쏟아졌다.

19일 서울 고척돔에서 이상혁(왼쪽)이 T1 팀원들과 우승컵을 들어 올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LoL 월드 챔피언십은 라이엇게임즈가 2011년부터 해마다 여는 글로벌 e스포츠 대회다. 축구의 ‘월드컵’에 빗대 일명 ‘롤드컵’으로 불린다. 이 대회의 매년 누적 시청자는 수억 명에 이른다. 2021년엔 7386만 명이 동시에 보는 기록을 세웠다. 리그오브레전드는 라이엇게임즈가 개발한 MOBA(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장르 게임이다. 5 대 5 팀전 형식으로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켜 상대방의 넥서스(본진)를 파괴하면 승리하는 방식이다.

올해 대회는 서울과 부산에서 열렸다. 국내에서 열린 것은 2014년, 2018년에 이어 세 번째다. 이날 결승전에선 국내 프로게임단 SK텔레콤씨에스티원(T1)과 중국리그 LPL의 웨이보게이밍 포 아우디(WBG)가 대결을 펼쳤다. 결과는 T1의 3 대 0 완승이었다. T1은 LoL e스포츠의 전설인 ‘페이커’ 이상혁(27)이 속한 글로벌 인기 팀이다. T1은 8강부터 결승까지 중국 팀을 차례로 격파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T1과 이상혁은 통산 네 번째 롤드컵 우승컵을 안았다. 역대 최다이자 유일한 기록이다. 이상혁은 경기 후 방송 인터뷰에서 “많은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하는 것 자체가 감사했다”며 “팀원들도 고생을 많이 했기 때문에 팀이 우승하는 게 더 기분이 좋았다”고 말했다.

7년 만에 네 번째 롤드컵 우승에 도전하는 이상혁을 지켜보기 위해 결승전 티켓은 일찌감치 마감됐다. 결승전 티켓 가격은 정가가 8만~24만원인데 온라인 중고거래 사이트에 수백만원짜리 암표가 올라올 정도로 주목받았다. 결승전을 상영하는 CGV 사이트에선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이 예매율 2위에 올랐다. 거리 응원이 펼쳐지는 서울 광화문에는 1만5000여 명이 몰렸다.T1에는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출전한 ‘페이커’ 이상혁, ‘제우스’ 최우제, ‘케리아’ 류민석 등이 속해 있다.

롤드컵 시청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동시 시청 최고 기록은 2019년 4400만 명, 2020년 4595만 명에서 2021년 7386만 명으로 불어났다. 주관사인 라이엇 게임즈에 따르면 올해 시청자 수는 역대 최고를 기록할 전망이다. 나즈 알레타하 글로벌 e스포츠 총괄은 지난 15일 열린 결승전 미디어데이에서 “아직 추정치지만 올해 시청자 수가 작년에 비해 65%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날 국내 LCK(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유튜브 채널의 한국어 롤드컵 생중계만 해도 동시 시청자 141만 명을 기록했다.

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선수들의 ‘억 소리’ 나는 연봉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 프로게이머 중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이상혁은 75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그는 지난해 T1과 3년 재계약을 맺으면서 스톡옵션을 받았다. T1이 지난 1월 올린 공시에 따르면 이상혁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했고, 이를 행사하면 T1 지분 5.66%를 보유하는 주주가 된다.

이주현 기자 2Ju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