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에 나타난 8m 풍선인형..."지금이 더 살기 좋다"는 거장의 메시지 [이선아의 걷다가 예술]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나우 이즈 베터'

롤링스톤즈 등 팝스타 앨범 디자인부터
리바이스·스와로브스키와 협업한 '거장'
DDP 풍선인형 등 참신한 방식으로
"과거보다 지금이 낫다"는 메시지 전해
DDP 잔디언덕에 설치된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의 'We’d rather be alive than dead: 삶은 그 어떤 경우에도 죽음보다 아름답다' /이선아 기자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서울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최근 이곳 잔디언덕에 주유소 앞에서나 있을만한 풍선 인형들이 들어섰다. 아이 몸집만한 1m짜리부터 8m 높이의 초대형 풍선까지. 언덕 윗쪽으로 갈수록 키 큰 풍선이 서 있다.

풍선 인형의 정체는 다름아닌 '한국인 기대수명'이다. 1900년 20세를 겨우 넘었던 기대수명이 120년 만에 80세까지 늘었다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준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을 만든 건 오스트리아 출신의 세계적 그래픽 디자이너 스테판 사그마이스터(61)다. 그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디자이너인 동시에 뉴욕 현대미술관(MoMA·모마), 필라델피아 아트 뮤지엄 등 유수 기관이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예술가다.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롤링스톤즈·제이지 등 팝스타들의 앨범 표지와 리바이스·스와로브스키 등 글로벌 브랜드의 광고들이 그의 손에서 태어났다.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2008년 대선 당시 선거 포스터를 만들어달라고 부탁하자, "안식년이라 못 만들겠다"고 거절한 '괴짜 예술가'이기도 하다.

지난 16일 DDP에서 열린 개인전 '나우 이즈 베터(now is better)'를 위해 방한한 그를 한국경제신문이 만났다. '옛날이 좋았지'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는 사람들에게, 그가 '과거보다 지금이 낫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몸에 칼로 글자를 새긴 '괴짜 예술가'

사그마이스터가 직접 디자인한 코트. 유럽의 살인사건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선아 기자
전시장에서 만난 그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자, 갑자기 자신이 입고 있던 코트를 벗었다. 코트 안에는 칼 모양 그래픽과 숫자가 새겨져 있었다. "중세 이후 유럽의 살인 사건 수를 시기별로 정리한 그래픽이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살인이 점점 줄어들고 있죠. 이것만 봐도 우리가 지금보다 더 나은 시대에 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지 않나요."
사그마이스터가 디자인한 롤링스톤즈의 1997년도 앨범 'Bridges to Babylon' 커버.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홈페이지 캡쳐
공교롭게도 그의 이름을 세계에 알린 것도 '칼'이었다. 1999년 미국그래픽디자인협회(AIGA)가 그에게 포스터를 의뢰하자, 자신의 상반신에 칼로 글자를 새긴 뒤 사진을 찍어 보낸 것. 예술가가 가진 창작의 고통을 직관적으로 보여준 이 포스터는 지금까지도 디자인 업계에서 '가장 충격적인 포스터'로 손 꼽힌다.

"당연히 엄청나게 아팠죠. 하하. 하지만 이거야말로 디자인의 본질을 보여준다고 생각했어요. 단 몇 초 안에 대중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아야 한다는 것이죠. 당시만 해도 포토샵이 흔치 않아서 모두들 제가 진짜 칼로 글자를 새겼다는 걸 알 수 있었거든요. "
1999년 사그마이스터가 디자인한 'AIGA 포스터'. 자신의 상반신에 직접 칼로 글자를 새겼다.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그는 이런 파격적이고 참신한 방식으로 대중의 시선을 잡아끌었다. 2008년엔 뉴욕의 한 갤러리 벽을 잘 익은 노란색 바나나와 덜 익은 초록색 바나나 7만2000여개로 채워 '자신감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는 텍스트를 만들었다. 바나나가 점차 익으면서 메시지가 사라지는 걸 통해 자신감은 쉽게 사라진다는 것을 눈으로 보여줬다.
스테판 사그 마이스터, '바나나 월'(2008)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2010년 리바이스 청바지 광고에선 톱니바퀴가 천천히 돌아가면서 '우리는 모두 노동자'라는 문구를 만들어내도록 했다. 당시 리바이스 광고판 앞은 글자가 완성되는 단 몇 초를 카메라에 담으려는 뉴요커들로 붐볐다.

◆"인류는 언제나 좋은 쪽으로 나아가"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부자와 가난한 사람'(2023)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그런 그가 이번엔 '지금이 낫다'는 메시지로 한국을 찾았다. 근거 하나 없는, 공허한 메시지만은 아니다. 전시장 안에 걸린 그의 작품은 모두 연구논문이나 보고서에 나온 수치를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예컨대 중세풍 회화 위에 그려진 그래픽은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950년 10만 명당 25명에서 2020년 2명으로 줄었다는 역사적 근거,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990년 10만 명당 150명에서 2018년 94명으로 감소했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관람객들은 전시 팜플렛에 있는 설명과 수치를 비교하면서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요즘 젊은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더 살기 힘들고, 팍팍해졌다고들 말해요. 하지만 객관적 수치를 보면 그렇지 않아요. 우리는 덜 위험하고, 더 쾌적한 환경에서 삶을 누리고 있죠. 미래도 지금보다 더 나아질 거고요. 이런 희망적 관점을 재미있는 방식을 전달하는 게 디자이너의 몫이라고 생각해요."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또 하나의 전쟁'(2023)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하지만 마냥 긍정적으로 바라보기엔 힘든 시기다. 전쟁의 비극부터 기후변화까지, 현대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가 산더미다. 그래도 그는 '지금이 낫다'고 생각할까.

"단기적인 관점에선 지금이 마냥 좋다고는 할 수 없죠. 하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해보세요. 과거엔 프랑스와 영국이 100년 동안 죽기 살기로 싸웠지만, 이제는 프랑스인이나 영국인이란 이유만으로 서로를 죽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잖아요. 한 발짝 뒤로 물러서더라도 두 발짝 나아가는 것. 인류는 늘 이렇게 발전해왔고, 더 나은 쪽으로 향하고 있다고 믿어요."야외 설치작품은 12월 31일까지, 전시는 내년 3월 3일까지 볼 수 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