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유발 물질 생산 중단하라"…유럽 운용사들 '한목소리'

LGIM 등 51개 운용사, 獨 바스프 등에 공개 서한
"660억佛 소송 비용 초래…기업가치에 치명적"
사진=게티이미지
10조달러(약 1경2993조원) 규모의 자산을 굴리는 유럽 투자업계 ‘큰손’들이 세계 최대 규모 화학회사들에 과불화화합물(PFAS) 생산 및 사용을 중단하라는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영국의 리걸앤제너럴(LGIM)과 아비바인베스터스, 프랑스의 BNP파리바자산운용, 북유럽의 노르데아자산운용과 스토어브랜드자산운용 등 51개 투자사가 15일 독일 바스프, 미국 케무어스, 일본 다이킨공업 등 글로벌 화학사 50곳에 이런 내용을 담은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PFAS의 생산의 전면 중단을 위한 단계적 계획을 마련하라는 요구다. 그 과정에서 더욱 안전한 대안 물질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생산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도 더했다.

PFAS 생산업체가 “과거‘석면 파동’에 준하는 법적 책임과 보험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이는 곧 장기적인 기업 가치에 치명적인 악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유다.

PFAS는 조리 도구와 배터리, 컴퓨터 칩, 스마트폰 등 수백만 가지의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열에 강하고 물이나 기름 등에 쉽게 오염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인체에 축적되면 암이나 불임 등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컨설팅 업체 밀리만, 프래디캣과 로펌 멘데스앤마운트에 따르면 PFAS에 따른 손배소 금액은 미국에서만 660억달러(약 85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1990년 이래 현재까지 140개 분야 산업에서 9800건 이상의 개인 단위 소송이 제기됐다. 환경 오염 등 광의의 피해 사례를 모두 합하면 대응 비용은 4000억달러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

운용사들은 2년 전부터 스웨덴 비영리단체켐섹(ChemSec)과 손잡고 화학업계에서의 PFAS 완전 퇴출을 촉구해 왔다. 참여사 수는 2021년 23곳에서 올해 51곳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유해 물질이 기업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민감성이 더욱 커졌다는 방증이다. 유럽연합(EU) 규제 당국은 약 1만개 변이 물질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켐섹에 따르면 표적이 된 50개 기업 중 단 5곳만이 유해 물질 생산 중단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한 상태다.LGIM의 존 호프너 미국 지역 스튜어드십 책임자는 “우리는 화학회사뿐 아니라 화장품과 소비재, 전자 제품 판매사에 투자하고 있기도 하며, 포트폴리오 전체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따져 본다”며 “PFAS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들의 조치는 아직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