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한 장으로 SNS 팔로워 100만명… 쉐이크쉑 벽화 그린 이 사람

[이선아의 걷다가 예술] 장 줄리앙 '쉐이크쉑'

2015년 SNS에 올린 '피스 포 파리'
파리 테러 추모 상징으로 떠오르며
세계적 인기 얻은 佛 아티스트

2020년 쉐이크쉑 한국 1호점에
일상의 소중함 다룬 벽화 그려
"내 그림은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
쉐이크쉑 강남대로점에 있는 장 줄리앙의 그림. /이선아 기자
2016년 7월, 서울 신논현역 인근의 한 패스트푸드 식당. 개장시간도 되지 않았는데 점포 앞에 1500여명이 장사진을 이뤘다. 한국에 첫 진출한 미국 대표 햄버거 브랜드 쉐이크쉑을 맛보기 위해 몰려든 사람이었다. 지금이야 어느 상점에서든 ‘오픈런’이 흔하게 벌어지고 있지만 당시는 달랐다. 버거 맛 한번 보겠다고 서너시간씩 기다리는 사람들이 나타난 건 세간의 화제였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2020년 7월. 쉐이크쉑은 다시 한번 사람들의 시선을 빼앗았다. 이번엔 매장 한쪽에 벽에 걸린 대형 작품 때문이었다. 여러 사람들이 버거와 콜라를 먹는, 평범하기 그지 없는 그림이었다. 버거 가게에 버거 먹는 그림이 걸린 것에 관심이 쏟아진 이유는 장 줄리앙 때문이었다. 미국 뉴욕타임스와 영국 가디언 등 세계의 유수 언론들이 앞다퉈 주목해야 할 그래픽 디자이너로 꼽은 작가다.

그림 한 장으로 무명에서 스타로

지난해 DDP 전시를 위해 한국을 찾은 장 줄리앙. /이선아 기자
줄리앙의 그림은 단순하다. ‘쉐이크쉑’만 그런 것이 아니다. 동그란 눈과 길쭉한 코, 슬그머니 올라간 입꼬리. 어린 아이가 그린 낙서 같기도, 만화에 나오는 캐릭터 같기도 하다. ‘이런 건 나도 그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하는 줄리앙을 세계적 스타로 만들어 준 건 2015년 인스타그램에 올린 그림 한 장이었다. 파리 에펠탑과 평화를 상징하는 ‘피스 마크’를 합친 그림.

그해 11월 13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IS 조직원들은 파리 시내와 인근의 축구장과 공연장 식당 등에서 총기 난사와 자살 폭탄 공격을 감행했다. 줄리앙은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테러 소식을 접하고 3분 만에 ‘피스 포 파리’라는 그림을 그렸다.
2015년 장 줄리앙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피스 포 파리(peace for paris)'.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줄리앙의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그림은 ‘파리 테러’ 추모의 상징으로 떠올랐고, 소셜미디어를 타고 순식간에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무명의 줄리앙은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00만 명이 넘는 유망 디자이너가 됐다. 언론들은 앞다퉈 줄리앙을 조명했고, 패션 식품 호텔 등 업종을 불문하고 다양한 브랜드들에서 ‘러브콜’이 쏟아졌다. 줄리앙이 인기 있는 이유는 바로 이거다. 그림체는 단순하지만 그 속에 담긴 아이디어와 메시지는 결코 가볍지 않다. 총에 맞서 펜을 들고 있는 그림으로 무장 이슬람교를 비판하고, 때로는 바로 옆에 살을 맞대고 있는데도 각자 핸드폰을 쳐다보느라 정신 팔린 커플 그림으로 ‘현대인의 집중력 중독’을 비꼰다. 한 장의 그림이 바로 한 편의 ‘블랙 코미디’인 셈이다.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대학 다 떨어지고 간 게 행운

줄리앙의 꿈이 처음부터 디자이너였던 건 아니다. 그는 원래 애니메이션을 전공하고 싶었다. 여러 학교에 지원했지만 모두 떨어졌다. 그 때 딱 하나 붙은 게 바로 프랑스 캥페르에 있는 미술학교 르 파라클레였다. 그곳에 줄리앙은 그래픽 디자인 전공 신입생으로 들어갔다.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그게 '전화위복'이었다. 줄리앙은 "이곳에서 일상을 흥미롭게 만들고, 창의적으로 디자인하는 법을 배웠다"고 말한다. 디자이너로서 평범한 일상을 색다른 각도로 보고, 거기서 웃음과 공감을 이끌어내게 됐다는 것이다. 이후 그는 런던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와 왕립예술대학을 졸업한 후 뉴욕타임스, 뉴요커,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이름난 매체에서 삽화가로 활동했다.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그는 항상 스케치북과 연필을 갖고 다닌다. 그러다 인상적인 장면이 눈에 들어오면 바로 스케치북을 꺼내 드로잉한다. 창의성을 잃지 않기 위해 매일 그림 일기도 쓴다. 일상 속에서 영감을 얻는 덕분에 그의 그림에는 '공감'이 묻어있다.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신선한 야채와 과일이 곁에 있는데도 몸에 안 좋은 담배를 향해 손을 뻗는가하면, '코로나 락다운(봉쇄조치)' 당시 노트북 화면을 뚫고 와인잔을 부딪히는 사람들을 그리기도 했다. 그는 "단순한 선으로 언어를 초월해 모두가 이해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말한다.

일상을 빼앗긴 사람들에게 일상을

쉐이크쉑 한국 1호점에 설치된 그림도 마찬가지다. 그림 속 사람들은 혼자 햄버거를 먹기도 하고, 옆 사람과 아이스크림을 나눠먹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무미건조한 표정으로 전화를 받기도 하고, 누군가를 만나 행복한 미소를 짓기도 한다.
장 줄리앙 인스타그램 캡쳐
코로나 첫 해에 설치된 이 작품을 통해 줄리앙은 일상을 빼앗긴 사람들에게 일상의 소중함을 돌려주고 싶었다고. 그림은 올해 8월 쉐이크쉑 1호점이 신논현역에서 강남역 인근으로 이사하면서 쉐이크쉑 강남대로점에 재설치됐다. 코로나가 끝난 후에도 여전히 사람들 옆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줄리앙은 그림을 그리는 목표를 이렇게 설명한다. "결국에는 웃음이에요. 화장실 사인처럼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그래서 공감하게 되고, 마침내 웃음짓게 되는 그런 그림을 그리고 싶어요."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