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위8·9구역 5000가구…'공공재개발' 탄력

서울시, 정비계획 수정 가결

1547가구는 공공임대로 조성
단지 중앙에 보행통로 만들어

서울서 공공재개발 11곳 확정
일반 분양 절반은 임대 공급
정비구역 해제로 주택개발 사업이 난항을 겪었던 서울 성북구 장위8·9구역이 공공재개발을 통해 5000여 가구의 대단지로 탈바꿈한다. 장위8·9구역을 포함해 서울에서만 11개 노후 사업지가 공공재개발을 위한 정비계획을 확정하게 됐다. 민간 정비사업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서울 내 공급 부족 문제가 불거지면서 공공성을 높인 정비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장위뉴타운 중심에 5000가구 공급

서울시는 지난 1일 열린 도시재정비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장위8구역(장위동 85 일대)과 장위9구역(장위동 238의83 일대)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장위8구역에 2846가구, 9구역에 2230가구 등 총 5076가구가 들어선다. 이 가운데 총 1547가구(장위8구역 784가구, 장위9구역 763가구)가 공공임대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소셜믹스 등을 위해 해당 공공주택을 분양 주택과 혼합해서 배치하도록 계획을 짰다.

당초 민간 재개발을 추진했던 장위8·9구역은 2017년 정비계획이 해제되는 등 난항을 겪었다. 2020년 공공재개발 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후 3년 만에 정비계획 입안 절차를 밟게 됐다. 서울시는 구역 해제 이후 장위재정비촉진지구의 변화된 여건을 반영해 도로 등 기반시설계획을 재조정하면서 지역에 필요한 사회복지·문화시설 등의 공공시설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장위8구역은 서울시 문화재인 ‘김진흥 가옥’을 감안해 주변에 공원을 조성하고 개방감을 확보했다. 장위9구역 남측의 공원과도 유기적으로 연계해 통경축을 만들었다. 주민이 편리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보행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단지 중앙에는 공공보행통로를 설치하도록 했다.이날 위원회에서는 동대문구 청량리재정비촉진지구 내 ‘용두1구역 6지구 재정비촉진계획’도 확정됐다. 역세권 입지 등을 감안해 일반상업·준주거가 혼재돼 있던 용도지역을 일반상업지역으로 상향했다. 최고 200m 높이에 용적률을 1100%까지 적용받아 977가구 공동주택과 오피스텔 120실이 들어선다.

○서울서만 11개 단지 정비계획 확정

공공재개발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 공공기관이 시행사로 참여해 낙후지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용적률 완화 등을 통해 사업성을 높이는 대신 일반 분양분의 절반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해야 한다. 통합심의 등 사업 절차도 간소화돼 상대적으로 속도도 빠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에선 강북 등 사업성이 부족한 주거지를 중심으로 총 24곳의 공공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2차 후보지 8곳을 포함하면 총 34곳에 달한다. 장위8·9구역과 용두1-6구역을 포함해 총 11곳이 정비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시행인가 절차를 준비 중이다.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곳은 동대문구 신설1구역과 전농9구역, 송파구 거여새마을이다. 지난해 12월 정비계획이 확정된 신설1구역은 지난 7월 두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연말까지 사업시행인가를 받고 2025년 착공해 2028년 입주를 마치겠다는 목표다. 용적률 299.5%가 적용돼 최고 24층, 299가구(공공주택 110가구)의 공동주택이 조성된다. 거여새마을과 전농9구역은 최근 주민대표회의 구성을 마치고 시공사 선정을 추진 중이다. 거여새마을은 최고 35층·1564가구로, 전농9구역은 최고 35층·1159가구로 개발이 예정돼 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사업인 공공재개발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신속통합기획 등 민간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동력이 떨어지는 듯했다. 하지만 서울 내 공급 부족 등이 부각되면서 관심을 보이는 단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을 통하지 않으면 추진 자체가 어려운 단지도 많다”며 “신속통합기획 등 민간사업이 지자체 갈등 등으로 생각보다 속도가 나지 않는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