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내년 주택 가격 2% 하락…주담대 금리 인상 불가피"

올 4분기 보합 후 내년 하락 전환
전세는 내년 2% 상승…수요 유입
"추가 규제 완화 시 시장 변화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1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내년 집값이 2% 하락하는 반면 전세는 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7조3000억원, 건설투자는 0.3% 줄어든 260조700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주택·부동산시장 전망을 발표한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올 4분기 보합을 기록한 후 2024년에는 2.0%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올 3분기까지의 시장 상황에 대해 “연초 규제 완화를 통해 시장의 하방 압력을 다소 누그러뜨렸고 정책 금융과 장기 주택담보대출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며 3분기 상승세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이어 “2024년에는 정책 대출을 포함한 전반적 대출 태도의 경직성이 강화되었고, 고금리 장기화가 우려되면서 주택시장이 다시금 하락 반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다만 정부의 정책 실현 수준과 추가적인 규제 완화에 따른 시장 상황 변화 가능성은 열어뒀다.
주택 가격 동향 및 전망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공급자 금융에 대해서는 “정부 대응 덕택에 부실 위험은 상당히 내려갔지만, 어려움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이연된 상태”라며 “건설업계와 금융계의 자구 노력에 힘입어 금융시스템 전반의 어려움으로 확산되지는 않겠지만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라고 분석했다.

주택 매매와 달리 전세가격은 올해 4.8% 하락하는 반면 내년에는 2.0%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해 하반기 이후 가격이 상향 안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하락하고 있고,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수요 유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입주 물량이 소폭 감소할 예정인 점을 들어 내년 상승세를 전망했다. 그는 “전세보증금 반환 이슈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부연구위원은 “최근의 집값 상승세에 집중하기보다는 2022년 이후 집값 하락에 영향을 줬던 거시경제 환경이나 금융 규제 환경이 2023년과 2024년에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 전망하기 어려워 시장을 둘러싼 제반 여건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박철한 연구위원은 이날 세미나에서 건설 경기 전망을 발표했다. 2022년 229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건설수주는 올해 전년 대비 17.3% 감소한 190조1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내년에는 1.5% 감소한 187조300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박 연구위원은 내년 고금리 상황의 장기화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 등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 수주가 반등하기 어려워 건설수주가 2년 연속 감소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건설투자의 경우 2022~2023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영향으로 2024년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공사의 부진이 예상된다. 상반기를 전후해서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박 연구위원은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고, 금리 인하 시기가 불확실한데, 2023년뿐만 아니라 2024년에도 건설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 및 건설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며 “건설기업은 현금 유동성 확보,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거시경제적, 정책적 요인 검토 결과, 국내 건설경기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