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과제 산적한 경제…잠재 부실 선제적 정상화 추진 중”

사진=뉴스1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1일 우리 경제에 대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거시경제적 불안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 취약계층에 대한 민생안정 지원,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등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인사말을 통해 올해 금융위원회가 △확고한 금융시장 안정 △실물·민생 경제 지원 강화 △금융산업 육성과 금융시장 선진화 △금융시장 규츌 체계 확립과 소비자 보호 등을 추진해왔다며 이 같이 밝혔다.우선 금융시장 안정과 관련해 김 위원장은 “작년 하반기 이후 감소했던 가계부채가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다”며 “가계부채의 양적·질적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연착륙,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 기업부실 확대 방지를 위한 정책들을 소개한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부실채권의 선제적 관리 등 금융회사의 건전성 확보 노력을 지속하고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입법 추진 등 상시 기업구조조정체계도 정비하겠다”고 했다.

실물·민생 경제 지원을 강화 차원에서는 취약차주의 자금수요 등을 감안해 정책서민금융을 차질 없이 공급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약속했다.금융시장 규율체계 확립과 소비자 보호와 관련해 김 위원장은 “빈발하고 있는 금융사고 재발을 방지하고 금융회사 내부통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을 위해 올해 9월 발의된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 논의에 적극 참여하겠다”며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주택담보대출 대환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소비자 편익 제고 노력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고금리 지속,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 등 글로벌 경제의 불안 요인이 여전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위험 요인에 대한 면밀한 관리와 함께 누적된 잠재 부실에 대한 선제적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