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래 이끌 기업가정신…다시 춤추게 하라

올해 한국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녹록지 않다. 미·중 갈등과 글로벌 경기 침체, 끝이 보이지 않는 고금리·고유가·고환율 등 ‘3고(高)’에 짓눌려 있다. 그러나 반도체와 자동차, 배터리, 철강, 조선, 정유 등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산업은 다시 일어설 준비를 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기업가정신이 있다. /김병언 기자
올해 한국 경제는 고유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이어지면서 수출 부진에 시달렸다. 기업 실적도 쉽게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4분기에는 자동차, 조선 등이 선전하는 가운데 반도체, 석유화학 업황 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 중심에는 ‘기업가정신’이 있다. 한국이 6·25전쟁 후 폐허에서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성장한 원동력이 기업가정신이다. 과학기술 혁신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을 멈추지 않는 기업가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때다.

▶위기를 기회로 바꾼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R&D), 전략적 시설투자 등을 통해 지속 성장을 위한 기반을 강화해왔다. 올 상반기 사상 최대 규모의 R&D 투자(7조2000억원)와 시설투자(14조5000억원)를 단행했다. 반도체 경기 반등과 미래 성장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성능 메모리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킬 계획이다. 빠르게 성장할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자동차 전장(전자장치) 관련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도 신제품을 출시해 ‘초격차’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SK그룹은 위기를 도약의 계기로 바꾸는 성장의 역사를 갖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위기 때마다 과감한 도전을 장려하며 그룹 전체가 역동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SK그룹은 올 들어서도 정보통신과 에너지·화학 중심의 사업 구조를 △반도체·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디지털 등 4개 사업 영역으로 전환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SK그룹은 12년 만인 지난해 재계 3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올해 5월 기준 자산은 327조3000억원, 매출은 224조2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2%, 32% 더 커졌다. 특히 SK그룹의 지난해 수출은 83조4000억원으로 한국 수출총액(863조7700억원·6839억달러)의 10%를 차지했다.

▶신기술·신제품에 미래를 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정의선 회장이 취임 3주년을 맞은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글로벌 판매 3위에 오른 데 이어 올해는 상반기까지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 1·2위 자리도 꿰찼다. 정 회장 취임 전인 2020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올해 상반기 판매는 61% 급증했고 매출은 1.8배가량으로 늘었다.

제네시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부가가치 차량을 더 많이 판매한 덕분에 영업의 질도 크게 개선됐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9배로 급증했다. 정주영 선대회장과 정몽구 명예회장의 ‘안 되면 되게 하라’는 기업가정신에 정 회장의 혁신 경영이 더해져 현대차그룹이 한 단계 더 도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LG그룹은 올해 구광모 회장 취임 5주년을 맞았다. 같은 기간 회사 ‘몸값’은 100조원 넘게 뛰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LG그룹 계열사 시가총액은 260조원에 달한다. 구 회장 취임 당시에 비해 160조원가량 불어났다.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 등의 영향이 컸다.

LG그룹은 구 회장 취임 이후 ‘고객가치 실천’을 경영 최우선 과제로 정했다. 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신기술과 신제품을 만드는 게 그룹의 목표다. 미래형 가전, 자동차 전장, 전기차 배터리 등에 집중 투자하면서 이 같은 목표를 달성했고, 덩달아 몸값도 폭등했다.

▶경영환경 개선 지원 필요하다

기업가정신을 확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도 중요하다. 국내 기업들은 과도한 규제 탓에 투자와 경영에 큰 부담을 갖고 있다. 특히 노동, 안전, 환경, 공정거래 등 분야의 규제가 산재한 상황이다.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 규제를 없애고 재설계해 기업의 투자와 경영활동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의원입법에 규제영향평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게 대표적이다.‘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동조합법 개정안에 대한 우려도 크다. 이 법은 원·하청업체 사이 산업생태계를 붕괴시키고 산업경쟁력을 심각하게 떨어뜨릴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걱정도 여전하다. 높은 상속세와 법인세를 과감하게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국내 기업인들이 기업하려는 의지를 높이도록 정부와 국회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