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 "기업가정신이 많은 문제 해결할 수 있어"

구글엔지니어로 일하다
실리콘밸리 순두부식당 인수

서빙자동화 문제 관심 계기
자율주행 서빙로봇 기업 창업

문제 알고 해결책 있다면
청년들 창업 도전해 볼만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지난 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업가정신은 세상의 많은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솔 기자
“기업가정신은 세상의 많은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글로벌 로봇 시장을 휩쓸고 있는 베어로보틱스의 하정우 대표(사진)가 지난 6일 서울 성수동 한국지사 사무실에서 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강조한 말이다.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 미국으로 건너간 하 대표는 2011년부터 캘리포니아 구글 본사에서 일했다. 구글 엔지니어이던 그는 2016년 실리콘밸리 밀피타스에 있는 순두부가게를 인수했다. 식당을 운영하면서 서빙 자동화에 관심을 두게 됐다. 고민 끝에 그는 구글에서 나왔다. 하 대표는 “실리콘밸리에선 창업자들이 성공할 때마다 직원들을 잡아놓기 위해 연봉을 높여준다”며 “안정된 소득을 포기하고 구글을 떠나는 게 처음에는 두려웠다”고 당시 기억을 떠올렸다.

2017년 자율주행 서빙 로봇을 개발·생산하는 베어로보틱스란 회사를 창업했다. 그는 “구글 직원이었을 때보다 지금이 훨씬 가치 있는 일을 하는 것 같다”고 했다.

하 대표가 창업한 베어로보틱스의 가능성을 일찌감치 알아본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2020년 240만달러를 투자했다. 베어로보틱스가 세계 로봇 시장에서 주목받게 된 계기다. 이 회사가 개발한 서빙 로봇은 미국 맥도날드를 비롯해 한국 CJ, 신세계푸드 등에 공급됐다. 회사 가치는 현재 7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그는 “돈보다는 가치 있는 일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해 창업했다”고 설명했다.하 대표는 도전과 혁신을 위해선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평범한 직장인이나 공무원, 자영업자 등 인생을 사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세상의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기업가정신뿐”이라며 “문제를 자각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게 기업가정신”이라고 강조했다.

도전하고 싶어 하는 한국 청년들에게 당장 창업을 권하고 싶다고 했다. 하 대표는 “과거와 달리 지금은 통찰력과 아이디어, 기술만 있으면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며 “한국의 위상이 높아졌고 투자를 위한 네트워크도 더 탄탄해졌기 때문에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했다. 그는 “이런 좋은 여건에도 한국에선 네이버 이후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가 나오지 않아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하 대표는 한 달여간 한국에 머물며 시리즈B의 두 번째 투자 유치 활동을 하다 미국으로 돌아갔다. 미국과 한국에 250여 명의 직원을 둔 회사의 최고경영자(CEO)로서 국내에서도 아침부터 밤 10시까지 수십 번의 미팅을 끊임없이 소화했다. 서빙 로봇뿐 아니라 물류를 담당하는 로봇 시장에 적극 진출할 것이란 포부도 밝혔다.그는 “시장이 있고 좋은 제품이 있다면 언젠간 반드시 성공할 수 있는 시대”라며 “회사 직원 250명이 나중엔 1000명이 될 텐데, 이들과 같은 꿈을 꾸며 세상을 바꿔 갈 수 있는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