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스치면 뜬다"…전기차 충전株 '상한가'

현대기아차 테슬라식 충전 방식 도입 소식에
휴맥스홀딩스 30% 급등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북미에서 판매하는 전기차에 테슬라식 충전 방식을 도입한다는 소식에 전기차 충전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충전 방식이 표준화되면 전기차 보급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충전 인프라 기업도 수혜가 기대된다.

6일 휴맥스홀딩스는 코스닥시장에서 가격제한폭(30%)까지 오른 572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내년 10월부터 북미에서 판매되는 전기차에 테슬라의 규격인 북미충전표준(NACS)을 채택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휴맥스홀딩스는 자회사 휴맥스EV를 통해 전기차 충전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모비우스 에너지와 '이동식 초급속 충전기 공동개발 및 사업협력'을 맺은 바 있다. 이외에도 전기차 충전주로 꼽히는 휴맥스(8.55%), 모트렉스(3.72%), 디스플레이텍(1.64%) 등도 상승했다.

NACS 충전구를 장착한 전기차는 테슬라의 충전 인프라 '슈퍼차저'에서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슈퍼차저는 미국 내 전체 급속 충전기의 60%를 차지한다. 이미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리비안이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에 들어오기로 결정했다. 여기에 현대차와 기아까지 가세하면서 전기차 충전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이로인해 전기차 보급 속도도 빨리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충전 인프라 수요도 자연히 커지게 된다. 고선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전기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적인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충전 시장은 올해 610억달러에서 2030년에는 4173억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그간 국내에서 이 시장은 중소업체 중심이었지만 최근 대기업들도 속속 뛰어들고 있다. SK그룹은 2021년 시그넷EV(현 SK시그넷)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했다. 같은해 GS에너지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진출한 GS그룹은 GS커넥트를 출범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