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못 뽑아서 문제…'2000만원 보너스' 준다는 이 나라

기술·금융기업 구조조정 빈자리, 정부가 메워
올해 美 신규 일자리 19%…22년만에 최고 비율
코로나19 구조조정으로 인한 기저효과도 반영
사회복지·간호사 지원자 적어 '당일 채용'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에서 18일(현지시간) 경찰이 테슬라 제조시설 앞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AFP
미국 연방·주 정부가 올해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간 기술·금융기업 대신 채용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뜨거운 미국 고용시장을 공공 일자리가 지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연방·주정부 공공일자리는 32만7000개 증가했다. 미국 내 신규 일자리의 약 19%가 공공일자리에서 나왔다.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이다. 지난해 이 비율은 5%에 불과했다. 공공부문 일자리 급증에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구조조정에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반영됐다. 당시 연방·주 정부는 교사·경찰·소방관 등 수백만명을 해고했다. 특히 지난해까지 기술기업들이 인재 영입을 위해 경쟁적으로 임금을 인상하고 보너스를 지급한 결과 공공일자리는 비교적 인기가 없었다.

그러나 올해 기술·금융 기업들이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연방·주 정부들은 인재 유치를 위해 파격적인 임금 인상과 복지 혜택을 내걸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USCBP)은 멕시코 국경 경계 인력을 대폭 늘리면서 채용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채용 보너스 최대 2만달러를 지급했다. 애리조나주 정부는 최근 12주 유급 육아휴직 시스템을 도입했다. 콜로라도주 제퍼슨카운티는 2020년 지원자 유치를 위해 주4일제를 시행했다.

올해 미국 구인구직 사이트인 집리크루터에 등록된 정부 일자리 급여는 지난해보다 20% 올랐다. 주로 소방관, 경찰관, 사회복지직 등에서 임금 상승 폭이 컸다. 교도소 직원·간호사 등 충원이 어려운 일자리를 메우기 위해 파격적인 시도를 하는 주 정부도 있다.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는 최근 공공 안전분야를 제외한 대부분 직종에서 당일 채용을 실시했다. 그 결과 지원자 60%가 채용 면접을 본 날 합격 통보를 받았다. 일반적으로 미국 공공일자리 채용은 급여가 낮고 대기시간이 긴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그 결과 샌디에이고 카운티 공공 일자리는 팬데믹 이전 1만7600명에서 2만명으로 증가했다. 공석 비율은 지난해 20%에서 11%로 감소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