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중점 육성…부산 '글로벌 혁신특구' 도전장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 적용
중기부에 공모 신청서 제출
부산시가 국내 최초로 모든 규제를 걷어내는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를 적용해 해양모빌리티 분야를 중점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신청서를 중소벤처기업부에 제출했다고 18일 발표했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2019년 지정된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구역이다. 신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 실증, 인증, 허가, 보험 등을 국제 기준에 맞춰 적용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명시적으로 열거된 금지사항을 제외하고 지정 분야의 신기술을 활용한 모든 실증이 가능한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돼 관련 산업의 성장이 기대된다.시가 추진하는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은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2020년)와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2021년) 지정에 이은 것이다. 그동안의 특구 운영 경험을 축적해 규제에서 완전히 탈피한 형태의 산업 육성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특구 지정 사업을 통해 탈탄소, 디지털전환 중심의 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한다.

기업과 기관 중심의 탄탄한 네트워크도 구축했다. 시는 공모 신청에 앞서 지난 12일 HD한국조선해양, HMM, 에코프로HN, 한국해양대, 한국선급, 부산테크노파크와 특구 지정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선박 건조를 비롯해 물류, 탈탄소 기술을 아우르는 기술 동맹을 결성한 것이다.

시는 협약 기업과 함께 친환경 선박 등 해양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대기업과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개방형 혁신 사업을 통해 공동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외에 해외 진출과 국내외 실증 지원 등의 협력 방안을 담았다. 7일에는 시를 중심으로 한국선급, 부산테크노파크와 KR헬라스(그리스)가 CE(유럽 적합성) 인증 획득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E 인증은 유럽연합(EU) 이사회의 지침에 따라 안전, 건강, 환경, 소비자 보호를 모두 만족하는 통합 규격인증마크다.박형준 부산시장은 “지역 주력 산업인 해양 부문의 탈탄소, 디지털전환을 위한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중”이라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