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설득 못한 에르도안…"흑해 곡물협정 곧 회복할 수 있을 것"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큰 성과 없이 끝났다. 다만 에르도안 대통령은 러시아가 탈퇴한 흑해 곡물협정을 복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정상회담 후 에르도안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의 수출 제한을 중단해야 곡물 협상에 복귀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날 공동 기자회견에서 튀르키예와 유엔이 흑해 곡물협정에 대해 러시아의 불만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제시안을 내놨다고 밝혔다. 이어 “단기간에 (러시아의) 기대에 부응하는 해결방안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또 에르도안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흑해 곡물협정을 재개하기 위한 협상에서 러시아에 대한 입장을 완화하고, 유럽이 아닌 아프리카에 더 많은 곡물을 수출할 필요가 있다”고도 말했다.

지난 7월 러시아는 약 1년간 이어온 흑해 곡물협정을 종료하겠다고 선언했다. 자국 비료 수출 등 협상에서 약속한 조건들이 서방의 제재로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러시아는 협상 재개 조건으로 ▲ 러시아 농업은행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 시스템 재연결 ▲ 파이프라인을 통한 암모니아 수출 재개 ▲ 농기계·부품 수입 재개 ▲ 러시아 선박·화물에 대한 보험 제한 해제 ▲ 러시아 비료 회사에 대한 제재 해제 등을 요구하고 있다.에르도안 대통령은 전쟁 중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출하는 흑해 곡물협정의 중재자 역할을 해왔다. 지난해 두 정상의 회담 이후 튀르키예는 러시아산 가스 수입 대금을 루블화로 결제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이날 에르도안 대통령이 올 들어 처음으로 푸틴 대통령과 만나면서 러시아가 흑해 곡물협정에 복귀할 수도 있다는 기대가 생긴 배경이다. 그러나 회담 결과는 희망을 빗나갔다.

에르도안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브로맨스’에 균열이 생겼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튀르키예의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에르도안 대통령이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동의하는 등 친서방 행보를 보이는 것을 푸틴 대통령이 달갑게 여기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