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만에 6000억 날렸다…주가 9년 만에 최저 찍은 회사

'9년 만의 최저' 디즈니 주가…"바닥 더 낮을 가능성"
디즈니 주가가 약 9년 만의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핵심 사업인 영화 콘텐츠의 부진에 스트리밍 구독자 수 감소, TV 부문의 부진 등 다방면에서 위기가 고조된 여파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스트리밍 요금 인상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금보다 주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디즈니 주가는 전일보다 3.36달러(3.91%) 하락한 82.47달러에 마감했다. 2014년 10월 이후 최저치다. 주당 197.1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2021년 3월 대비 58% 넘게 떨어졌다.이달 초 발표한 2분기(회계연도 3분기) 실적 부진의 충격이 이어지다 25일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매도심리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디즈니 2분기 매출은 223억3000만달러(약 29조원)로 시장 추정치를 소폭 밑돌았다. 지난해 이 기간 14억900만달러를 벌었지만 올해는 4억6000만달러의 순손실을 냈다.

적자 원인은 콘텐츠였다. 디즈니랜드 등 테마파크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2분기에 각각 17%, 20% 증가했다. 그러나 미디어와 콘텐츠 사업에서는 매출이 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6% 급감했다. 영화 ‘엘리멘탈’과 ‘인디아나 존스’ 같은 대작들이 흥행에 실패한 여파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OTT 서비스인 디즈니+ 가입자 수가 1억4610만명으로 전 분기보다 7.4% 감소한 타격도 컸다. 가입자 수는 사업의 성장성과 직결된다. 다만 온라인 스트리밍 손실은 5억1200만달러로 전년 동기(10억6000만달러) 대비 줄었다.밥 아이거 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회사가 단기적으로 도전적인 환경에 직면해 있다”고 인정했다. 실적 발표 이후 디즈니 주가는 5% 이상 하락했다.

문제는 현재 주가가 바닥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 영화 바비와 오펜하이머가 묶여 ‘바벤하이머’ 열풍을 만들면서 관객들을 극장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한 만큼, 디즈니의 ‘나홀로 부진’이 투자자들에게 더 부각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투자회사인 케이뱅크 캐피털 마켓의 애널리스트 브랜든 니스펠은 “디즈니는 콘텐츠 비즈니스가 성과를 내지 못하는 유일한 회사”라며 “영화사업이 영원히 적자를 낼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