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찰위성 발사 또 실패…한미일 정보공유 가동

3단계 비행 중 오류로 낙하
北, 10월 중 3차 발사 예고
尹 "훈련 정례화 면밀 추진"
북한이 지난 5월 군사정찰위성 1차 발사 실패 후 85일 만에 2차 발사를 감행했지만 또다시 실패로 돌아갔다. 한·미·일은 3국 정상이 합의한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 따라 3각 공조 시스템을 가동해 즉각 대응했다. 북한은 사고 원인 규명 후 오는 10월 3차 발사에 나설 방침이다.

합동참모본부는 24일 “북한은 오전 3시50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며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고 실패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북한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형 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의 1계단(단계)과 2계단은 모두 정상 비행했으나 3계단 비행 중 비상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은 “해당 사고 원인이 계단별 발동기(엔진)들의 믿음성과 체계상 큰 문제는 아니다”며 “원인을 철저히 규명한 후 10월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에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1차 발사 실패 원인이 2단계 발동기 시동 실패였으나, 이번 2차 발사 실패는 3단계 비행 중 오류로 기술적으로 진일보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군 당국은 1차 발사 잔해물을 인양해 미국과 공동 조사한 결과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합참은 이번 위성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상에 떨어진 잔해물을 인양하는 작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연이은 정찰위성 발사 실패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위상도 흔들리게 됐다는 평가다. 김정은의 국방분야 5대 핵심과제 중 하나인 정찰위성 보유가 미뤄지고 있는 데다 다음달 9일 정권 수립 75주년(9·9절)을 앞두고 축제 분위기를 띄우려던 계획 역시 차질을 빚게 됐기 때문이다.한·미·일은 3각 공조 시스템을 통해 대응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열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결과를 보고받고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미사일 방어협력 증대, 3자 훈련 정례화를 면밀하게 추진해나가라”고 지시했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이날 통화를 하고 공동 대응 및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3자 훈련 정례화 등 3국 합의를 신속히 이행하기로 했다.

한편 1차 발사 당시와 달리 이번에는 재난경보가 울리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 국민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