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전문가, 현장사무소 정기 파견…원자력·외교 당국 '이중 핫라인'

불안 차단 모니터링 강화

日, 1시간마다 한국어 데이터 제공
태평양 도서국 해역도 방사능 조사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오른쪽)이 22일 정부서울청사 일일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과 관련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뉴스1
정부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라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존 국내 해역 외에 일본과 인접한 북서태평양 공해와 태평양도서국 인근 해역에서도 방사능 검사를 할 계획이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브리핑을 하고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 범위를 국내 해역 200개 정점(지점)에 더해 우리 해역 밖으로 대폭 넓혀 방류 초기 오염수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태평양도서국 인근 해역에서는 우리 해역으로 직접 유입되는 구로시오해류와 연결된 북적도해류의 방사능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10개 정점을 내년부터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정점 위치와 시기 등은 태평양도서국 측과 협의한 뒤 확정할 예정이다.

일본 인근 공해상 조사는 해류 흐름을 고려해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500~1600㎞ 떨어진 2개 해역 8개 정점에서 시행된다. 지난 2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발표한 오염수 방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방류된 오염수는 태평양을 돌아 4~5년 후 우리나라 해역에 유입될 전망이다.

오염수 방류 후 정부가 중점적으로 확인할 사안은 일본 측이 오염수를 계획대로 처리하는지 여부다. 정부는 오염수 유량, 해수로 희석된 삼중수소 농도 등을 일본 측의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일본 측은 관련 데이터를 1시간 단위로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한국어로도 제공하기로 했다. 만일 실제 방류가 계획과 다를 경우 정부는 일본 측에 방류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지난달 설치한 후쿠시마 현장사무소에도 우리 측 전문가를 파견하기로 했다. 다른 국가와의 형평성 차원에서 상주가 아니라 정기 방문 방식으로 합의됐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이외에 정부는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일본 규제당국 및 외교당국과 각각 소통할 수 있는 ‘이중 핫라인’을 구축하는 데 합의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