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회 "블랙록, 中 투자로 이득 비양심적"

美·中 갈등, 기업에 '불똥'

ZTE 등 블랙리스트 오른 기업에
5개 중국 펀드 통해 4억달러 투자
지수 개발하는 MSCI도 조사

美의 대중 봉쇄 정책 여파
반도체업계 이어 월가로 확산
미·중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 정치권과 민간 영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미국 의회는 자국의 대형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의 중국 투자가 ‘비양심적’이라며 조사를 예고했다. 앞서 미국 반도체 업계는 “미국 기업의 손발을 묶고 있다”고 반발했다.

○블랙리스트 中기업 투자한 금융사 겨냥

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하원의 ‘미국과 중국 공산당 간 전략 경쟁에 관한 특별위원회’(미·중 전략경쟁특위)는 전날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금융지수 개발사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에 서한을 보내 이들의 대중국 투자활동과 관련해 조사를 벌일 방침이라고 통지했다.블랙록은 운용자산이 9조달러(약 1경1614조원)를 웃도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다. MSCI는 세계 투자자들이 벤치마크로 활용하는 주가 등의 지수를 개발하는 금융회사다.

미·중 전략경쟁특위는 두 기업이 블랙리스트에 오른 중국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미국 정부 기관이 안보 위협 및 인권 침해와 연관됐다고 지목한 60개 이상의 중국 기업에 미국 자본이 흘러가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블랙록과 MSCI가 했다는 것이다.

사전 조사 결과 블랙록의 5개 중국 관련 펀드에서만 문제가 된 중국 기업에 투자된 자금이 총 4억2900만달러(약 5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위는 중국 통신업체 ZTE, 전투기 제조 방위산업체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AVIC) 등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이 투자 대상에 포함됐다는 점을 지적했다.특위 관계자는 “미국 기업이 최대 적국(중국)의 군사적 발전을 촉진하고 인권 침해를 조장하는 투자로 이익을 얻는 것은 비양심적”이라고 비판했다.

○충돌하는 美 정치권과 재계

이번 조사 통지로 미국 정치권과 자본시장 사이의 갈등이 촉발된 가운데, 미국 산업계도 정부의 지나친 대(對)중국 수출통제 조치에 반발하고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지난달 18일 추가적인 대중국 수출 제한 조치를 자제하라고 요청했다. SIA 회원사로는 인텔 IBM 퀄컴 엔비디아 등 미국 기업과 삼성 SK하이닉스 TSMC 등이 있다.

미국 기술 기업들은 중국 수출길이 막혀 수익성이 훼손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기술 기업들은 전체 매출 가운데 약 3분의 1을 중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다.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대중 규제 강화가 결국 미국 기술 기업들의 손발을 묶는 족쇄가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인텔이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 혁신센터를 열고 인공지능(AI), 첨단 컴퓨팅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하기로 한 것도 미국 정부와 산업계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작년 10월부터 대중국 첨단기술 수출통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 10월 미국 상무부는 △핀펫(FinFET) 기술 등을 사용한 로직칩 △18㎚ 이하 D램 △28단 이상 낸드플래시를 생산할 수 있는 장비·기술을 중국 기업에 판매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하는 광범위한 대중국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한 데 이어 저사양 AI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놓기로 했다. 또 중국의 첨단산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국 기업에 투자를 제한하는 조치도 준비 중이다.

한편 이날 미국 국무부는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을 미국으로 공식 초청했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 측의 초청 수락 여부에 대해 “중국이 답해야 할 사항”이라면서도 “중국이 수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