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뒤 영화 '투모로우' 현실 될 수도

해류 순환 멈춰 기온 조절 안돼
지구의 열 순환을 돕는 대서양 해류가 이르면 2025년에 멈춰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경우 북미·유럽에는 혹독한 추위가 찾아오고 열대지방은 더 더워지는 ‘기후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코펜하겐대 연구진은 대서양자오선역전해류(AMOC)가 2025년부터 2095년 사이에 멈출 것이며 2050년대에 그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지를 통해 발표했다.AMOC는 카리브해 인접 열대지방의 따뜻한 물이 온도·염도 차에 따라 북미 연안을 거쳐 북극 방면으로 이동해 차가워진 뒤 심해로 가라앉아 다시 적도 쪽으로 돌아오는 해류 순환 현상을 말한다. 북반구에선 AMOC가 대표적인 해류 순환이다.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컨베이어벨트 같은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AMOC 중단 시기를 훨씬 앞당겨 예고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앞서 유엔 기후위기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금세기에 AMOC가 멈출 가능성은 낮다고 발표한 바 있다. 코펜하겐대 연구진은 과거 기후 기록과 염분 및 빙하 유출 등에 대한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기존 연구가 AMOC의 안정성을 과대평가했다고 지적했다.

AMOC 중단은 ‘기후 변화’가 ‘기후 재앙’으로 넘어가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대서양 해류 순환이 멈추면 유럽과 북미 지역에는 극한 추위가, 적도 인근에는 폭염이 찾아오고 인도·남미·서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몬순 계절풍이 교란될 수 있다. 지구 전체가 빙하로 뒤덮이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 ‘투모로우’도 AMOC가 멈추는 상황을 가정했다.일각에서는 연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연구팀이 활용한 1870년부터 2020년 사이의 데이터가 부정확하다는 이유에서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