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혼잡도 AI로 예측한다…행안부, 분석모델 개발

행정안전부가 연근해의 해상 교통 혼잡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모델개발에 나선다고 12일 발표했다.

행안부 산하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협업해 연말까지 관련 데이터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중앙해양안전심판원에 따르면 선박 간 충돌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782명 발생했다. 이 기간 전체 해양사고 사상자(2479명)의 31.5%에 달하는 숫자다.

행안부는 관련 모델이 개발되면 해양 교통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상되는 선박 통행량에 맞춰 근해 선박 항로를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선박에 부착된 위치발신장치를 활용해 위치, 선수방위, 속도 등을 활용해 해상에서의 시간대별 격자별(구역별) 교통량을 산출하고, 1시간 후의 교통량과 혼잡도를 예측하는 방식의 모델을 만들기로 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이 확보·관리하는 선박위치정보데이터를 통합 활용하기로 했다.
예측된 정보를 토대로 해상 안전관리 기관이 교통 혼잡도에 대한 사전 안내를 비롯해, 현장에서 필요한 교통안전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혼잡한 해역을 지나게 될 선박들은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해 경로를 우회하거나,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보다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게 된다. 속력 제한구역 지정, 통항분리대 설치 등의 선박 안전 정책 수립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모델을 개발하면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국민이 안전한 해양레저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통해 개방할 예정이다.

정선용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해양사고는 육상사고에 비해 사망위험이 약 2배 이상 높은 만큼 특별한 안전관리 조치가 필요하다”며 “안전한 해상활동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