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 자주 만나는 노인 뇌 보니…'이것' 달랐다 [건강!톡]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친구가 적고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접촉이 거의 없는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뇌 부피가 줄어들고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 니노미야 토시하루 교수팀은 노인층을 대상으로 사회적 접촉 빈도와 뇌 부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13일 미국 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 호에 발표했다.해당 연구는 치매가 없는 평균 연령 73세 노인 8896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설문 조사를 통해 친척·친구 등과 얼마나 자주 접촉하는지 물었고, 이들의 건강검진과 자기공명영상(MRI) 뇌 스캔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접촉이 가장 적었던 사람은 가장 많았던 사람에 비해 전체 뇌 부피가 작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적 접촉이 많은 그룹(A)과 가장 적은 그룹(B)으로 분류해 비교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B그룹의 경우 두개골에서 뇌백질과 회색질 부피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낮았다. 또 뇌백질이 손상돼 나타나는 백질 병변 발생 위험도 더 컸다. 기억·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와 편도체 같은 부위의 부피도 B그룹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니노미야 교수는 "이번 결과는 노인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할 수 있게 돕는 일이 뇌 위축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사회적 고립이 뇌 위축을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 아닌, 연관성을 보여준 연구일 뿐이라고 전했다. 나아가 연구가 일본 노인만을 대상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다른 인종이나 젊은 층에는 일반화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