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테라퓨틱스, 교모세포종 치료제 2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6개월 생존율 75.8% “현저히 개선”
HLB테라퓨틱스는 교모세포종(GBM) 치료제 임상 2상에서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개선하며 기존 치료제 대비 우월한 약효를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HLB테라퓨틱스는 전날 열린 주주 간담회에서 미국 자회사 오블라토가 개발하고 있는 GBM 치료제 ‘OKN-007’의 임상 진행현황 및 현재까지 분석된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재발성 GBM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2상은 표준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제품명 테모달)’와 OKN-007의 병용요법으로 진행됐다.

중간 분석 결과, 주 평가변수인 6개월 생존 환자의 비율은 75.8%에 달했다. 목표 기준점인 60%를 크게 웃돌았다. 현재까지 분석된 1년 생존율은 34%다. 전체생존기간중앙값(mOS)은 9.3개월이다. 과거 테모졸로마이드를 이용한 임상 결과나 최근 발표 문헌(Linda M Liau et al., 2023)에 보고된 GBM 대상 화학요법 임상과의 통합 분석 결과와 비교하면 mOS가 25% 이상 개선됐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악성 뇌종양인 GBM은 5년 생존율이 7% 미만인 희귀질환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테모달과 아바스틴을 치료제로 승인한 이후 14년 가까이 신약이 개발되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이다. OKN-007은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낮추는 TGF-β와 저산소증 유발인자인 HIF-1α 등의 발생을 저해하고, 종양미세환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주주간담회에서는 오클라호마 대학의 스티븐슨암센터(Stephenson Cancer Center)에서 진행 중인 신규 뇌교종 환자 대상 연구자 임상의 중간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표준치료법인 방사선 치료+테모졸로마이드 요법에 OKN-007을 병용요법으로 투여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mOS는 25.5개월로 나타나, 타 치료제의 기존 임상 결과인 14~20개월 대비 우월함을 확인했다. 모집된 환자 27명 중 현재 12명에 대한 생존 기간을 추적 관찰하고 있다.

안기홍 HLB테라퓨틱스 대표는 “최근 10년간 진행된 여러 GBM 임상시험 결과를 대조군으로 OKN-007 임상 2상 중간 분석 데이터와 생존 기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뚜렷한 임상적 유의성과 우수한 치료효과를 확인했다”며 “향후 기술수출이나 글로벌 협력, 병용 임상확대 등 다양한 전략적 방안들을 모색해 OKN-007의 가치를 높이고, 남은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HLB테라퓨틱스는 이번 주주간담회에서 또 다른 안과질환 신약후보물질인 ‘RGN-259’의 임상 진행 상황과 저온유통망(콜드체인) 사업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RGN-259를 이용한 신경영양성각막염(NK) 환자 대상 임상 3상은 미국과 유럽에서 현재 순항하고 있다. 2021년 HLB그룹에 편입된 HLB테라퓨틱스(옛 지트리비앤티)는 현재 신약 개발, 콜드체인 전 분야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