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시중은행 첫 '50년 만기' 주담대 내놔

고물가·고금리에 허덕이는
금융 소비자 비용 부담 고려
매달 납부할 상환액 줄어들어
하나은행이 5대 은행(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중 처음으로 주요 주택담보대출 상품 최장 만기를 기존 40년에서 50년으로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7일부터 하나원큐아파트론 등 주요 주택담보대출 상품 4개의 만기를 최장 50년으로 연장할 계획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고물가와 고금리 등으로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진 금융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지원하고자 만기를 늘렸다”고 설명했다.차입자 처지에선 만기가 늘어나면 매달 납부하는 원리금 상환액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대출 한도도 높아진다. 주담대를 받을 때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적용돼 차입자가 매년 갚는 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못한다. 하지만 상환 기간이 50년으로 길어지면 매년 납부할 원금이 줄어들어 대출 한도도 그만큼 늘어난다.

주요 은행이 주담대 만기를 늘리는 것은 청·장년층 대출 수요를 끌어오기 위해서다. 기존에 만기 50년 주담대 상품은 주택금융공사의 청년·신혼부부 대상 정책모기지와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상품만 있었다. 은행권에서는 수협은행이 올 1월 처음으로 최장 만기 50년 주담대 상품을 출시했다. 은행들은 50년 만기 상품의 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50년 만기 정책모기지론 수요가 기대보다 크자 본격적인 상품 출시에 나섰다.

최근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최저 금리가 연 3%대인 주담대 상품을 판매한 데 따른 대응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경쟁력을 갖춘 인터넷은행의 전략과 달리 만기 연장을 앞세워 대출 수요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란 것이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