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진행 중인 한국맥도날드…"당분간 매출확대 주력"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이사(사진=한국맥도날드)
“수익성 개선보다 매출·투자 확대가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신규 매장 출점을 가속화해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겠습니다.”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사진)는 5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드라이브 스루 중심의 매장 오픈과 기존 점포 리뉴얼을 통해 2030년까지 전국에 500개 매장을 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맥도날드는 전국에 400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상반기에 세 곳의 매장을 냈고, 하반기에 다섯 곳을 더 선보일 계획이다. 한국맥도날드는 지난해 1988년 한국 진출 이후 최대인 1조1770억원의 매출을 냈다. 하지만 영업손익 부문에선 278억원의 적자를 내 4년 연속 적자가 이어졌다. 김 대표는 “적자 폭을 단기간에 줄이려면 제품과 서비스 투자를 축소해야 한다”며 “이는 맥도날드가 지향하는 바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매출이 늘어나면 수익성은 뒤따라온다”고 설명했다.

한국맥도날드는 동원그룹의 지주사인 동원산업과 매각협상을 벌이다가 최근 최종 결렬됐다. 다시 새 주인을 찾아야 할 입장이다. 김 대표는 “(미국 본사가) 수익만 바라보는 매각을 추진하는 게 아니다”며 “매각 후에도 한국맥도날드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될 전략적 파트너를 찾고 있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는 맥도날드의 한국 진출 35주년을 맞아 제작된 사사(社史) 두 권(히스토리북, 브랜드 스토리북)의 출간을 기념해 마련됐다. 작년 5월 취임한 김 대표도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비쳤다. 한국에서 프리미엄 버거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과 관련해 김 대표는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 메뉴를 중시하는 맥도날드지만 한국과 같이 변화가 빠른 시장에서는 그에 걸맞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 일환으로 김 대표가 주력하는 사업이 ‘한국의 맛 프로젝트’다.

한국맥도날드는 2020년부터 국산 식자재를 쓰는 버거 메뉴를 개발하고 한정 판매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 진도산 대파를 사용한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를 6일 출시한다. 약 50t의 진도산 대파가 사용될 예정이다. 서울 여의도 IFC몰점에서는 오는 11일까지 팝업스토어 ‘맥도날드 파밭스토어’를 운영한다.

한경제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