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심고 가꾸기론 한계…산업화로 도약 시기 맞았다

올해로 국토녹화 착수 50주년
산림률 68%로 세계 주요국 중 4위
공익가치 259조…1인 年 499만원 혜택
산림 순환경영…임목축적 확대 필요

탄소중립 기여 등 목재 산업화 시급
목재 활용 등 자급률 15%에 불과
산림도 고령화…나이 분포대로 관리

잘 가꾼 나무 활용 등 선순환 필요
임도·임업기계 확대, 노후시설 현대화
내년까지 목재 유통 통합시스템 구축
선진국형 산림 경영관리 서둘러야
지난 50년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없는 치산녹화를 이뤘다. 이제 잘 가꾼 나무를 산업으로 연결한 시대를 맞았다. 사진은 경북 울진의 금강소나무 군락지. /산림청 제공
올해는 국토녹화 50주년이 되는 해다. 1973년 당시 정부는 일제 강점기 수탈과 6.25 한국 전쟁 등으로 민둥산이었던 산림을 종합 관리하기 위해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을 시작했다. 그 결과 입목축적은 1953년 3600만㎥에서 2020년 10억4000만㎥로 29배 증가했다. ㏊당 평균 입목축적은 165.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31.3㎥보다 25.8%나 높다. 산림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산림률은 63%로 세계 주요국 중 4위를 차지한다”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녹화 성공 국가로 유일하게 대한민국을 꼽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 1인당 연간 499만원 혜택

산림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는 259조원으로, 국민 1인당 연간 499만원의 혜택을 받고 있다.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 평가액은 2018년 기준 221조원에서 38조원(16.9%) 증가했다. 분야별로 보면 온실가스 흡수·저장기능이 97조6000억원으로, 총평가액 중 가장 높은 37.8%를 차지했다. 이어 산림 경관 제공 기능 31조8000억원(12.3%), 산림휴양 기능 28조4000억원(11.0%), 토사유출 방지 기능 26조1000억원(10.1%), 산림정수기능 15조2000억원(5.9%) 등의 순이었다. 산림청은 가치 평가 결과 공익기능 가치를 더 늘리려면 목재산업을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경제림을 대상으로 산림 순환경영을 실행해 매년 자라나는 나무부피(순 임목축적)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외 산림경영 여건 변화

최근 국가별 최대 아젠다는 탄소중립이다. 탄소중립은 크게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과 흡수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흡수원 중 산림은 유일한 탄소흡수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산림 1㏊는 평균 6.5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4.7t의 산소를 배출해 공기를 맑고 깨끗하게 걸러준다. 탄소중립에 우리나라도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나라는 대규모 조림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했지만 30년생 이하 산림은 18%에 불과하고, 70% 이상이 31~50년생인 불균형한 구조를 갖고 있다.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은 25년생 전후를 정점으로 기능이 떨어지며, 대규모 산림의 고령화 추세는 오히려 탄소중립의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적극적 산림경영 없는 상태로 고령화 진행시 현재 4100만tCO2인 탄소흡수량이 2050년이 되면 1390만tCO2로 현재의 33% 수준까지 감소한다.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2008년 6150만tCO2를 정점으로 지속해 감소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2억9100만tCO2 중 3200만tCO2를 산림부문에서 충당하기 위해서는 산림을 나이 분포대로 관리하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목재 자급률은 15%에 불과

세계 주요국 목재자급률을 보면 미국 88%, 독일 63%, 일본 46% 등으로 자국 내 산림자원(목재)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목재수급량 2868만㎥ 대비 국산목재 생산량은 430만㎥로, 자급률은 15%에 불과하다. 기후변화에 강한 경제수종을 활용하고, 경제림단지 중심의 산림경영 기반시설을 확충하면 목재자급률을 현재 15%에서 25%까지 끌어 올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OECD 국가 평균 연간 산림자원 증가량 중 40~80%를 목재로 활용하지만 우리나라는 430만㎥으로 19.5%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목재산업 활성화가 탄소중립·경제활성화 기여

국내 목재산업 매출규모는 2010년 34조원에서 2020년 48조원로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목재·나무제품 부문보다는 펄프·종이 및 목재가구 제조업의 성장세에 기인한다. 연관사업을 제외한 순수 목재·제품 부문의 주요국 매출규모를 보면 우리나라는 10조원대인데 비해 일본 38조원, 독일 37조원, 미국 177조원으로, 국가별 제조업 규모를 감안해도 큰 격차를 보인다.국내 산림 중 순환경영이 가능한 규모는 전체 산림자원량의 약 40%나 된다. 총 입목축적(10억㎥) 및 지속가능생산 주기(50년)를 고려하면, 연간 800만㎥의 국산목재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목재수급량을 현재 2900㎥에서 3200만㎥로 늘리고 국산목재 생산량도 430만㎥→800만㎥로 각각 늘리면 목재자급률를 25% 달성할 수 있다. 국민경제 기여도 또한 81조원에서 94조원로 약 13조원 증가시킬 수 있다. 수확한 목재 중 10%(80만㎥)를 목조건축으로 이용하면 인정되는 탄소저장량은 약 33만tCO2 이상으로 국가 탄소중립 실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산림순환경영 시대 도래

이에 산림청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반시설인 임도와 임업기계에 대한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노후된 목재산업시설을 현대화하고 목재산업단지를 조성해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시공·에너지·내화·내진·공학목재·구조설계 등의 목조건축 분야는 이미 세계적 수준을 갖췄다.산림청은 목재생산부터 소비까지 디지털정보화 및 민·관 협력모델을 운영하는 목재유통체계 선진화를 위한 통합시스템 구축을 오는 2024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국민의식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나무가 나이가 들어 가치를 잃고 있어도 ‘멀쩡한 나무를 왜 베냐’는 인식이 팽배해서다. 그동안 심은 나무를 썩을때까지 보존하는 게 아니라 목재로 가치가 있을때 사용하고 다시 심어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나무를 심고-가꾸어-활용하는 ‘산림순환경영’을 통해 산림산업과 목재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 창출 등 지속가능한 경제임업을 구축해야할 시기다. 산림청 관계자는 “선진국형 산림경영관리를 통해 산림르네상스 시대를 열어야 할 시기를 맞았다”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