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스타트업과 윈윈' 확대…200곳에 1.3조원 투자

오픈이노베이션 테크데이

모빌리티·AI·자율주행 등 분야
스타트업 키우고 상호협력 추진
6년간 사내벤처 매출 2800억
< 계단 오르내리는 자율주행 배송 로봇 > 현대자동차그룹의 사내 스타트업에서 분사한 모빈의 한 직원이 라스트마일 배송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모빈의 배송 로봇은 계단을 자유롭게 오르내리며 주야간 자율주행할 수 있다.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대폭 강화한다. 상호 협력하는 개방형 혁신을 통해 ‘윈윈’할 수 있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난 6년 동안 스타트업에 투자한 금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현대차그룹은 15일 서울 마포의 한 호텔에서 ‘현대차그룹 오픈이노베이션 테크데이’ 행사를 열었다. 그룹의 국내외 스타트업 투자 현황과 방향을 설명하고 스타트업 생태계와의 상생 전략, 개방형 혁신 성과 등을 소개했다.현대차그룹은 오픈이노베이션을 가동한 2017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200여 개 스타트업에 1조3000억원을 투자했다. 분야도 다양하다. 모빌리티(투자금액 7537억원)는 물론 전동화(2818억원), 커넥티비티(1262억원), 인공지능(AI·600억원), 자율주행(540억원), 에너지(253억원), 로보틱스(114억원) 등이다. 이는 보스턴다이내믹스와 모셔널, 슈퍼널 등 대규모 해외 투자는 제외한 수치다.

현대차그룹은 유망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미국과 독일, 이스라엘, 중국, 싱가포르 등 5개 국가에 혁신거점인 ‘크래들’을 운영 중이다. 국내에선 오픈이노베이션의 허브 역할을 하는 ‘제로원’을 설립했다. 전 세계에 운영 중인 투자 펀드는 총 19개에 달한다. 황윤성 현대차·기아 오픈이노베이션 추진실 상무는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현대차그룹에 중요한 인사이트를 주는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 스타트업과의 체계적 협업 체계도 눈에 띈다. 현대차그룹은 성장 단계에 맞춰 전문적이고 다양한 육성,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업체의 성공적인 안착을 돕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내 스타트업 제도도 운용한다. 지금까지 30개의 사내 스타트업이 분사했다. 누적 매출은 2800억원에 달한다.현대차그룹은 향후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에 투자할 방침이다.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자원순환과 저탄소, 반도체, AI, 양자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황 상무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미래를 대전환할 수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등 과감한 협업 전략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