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염 사재기 징후 아직 없어…가격 오르면 정부가 수매"

사진=연합뉴스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에서 "여러 차례 현장을 확인한 결과 가공·유통업계 차원에서 발생하는 천일염 사재기 징후는 아직 없다"고 밝혔다.

다만 신안군 7개 농·수협에서 판매하는 2021년, 2022년산 천일염에 대해서는 개인 구매가 많이 늘어난 상황이다.송 차관은 "현재까지 파악한 직거래 물량이 지난달에 비해서 2배에서 많게는 5배까지 증가했다"며 "가격도 일부 판매처에서 5월보다 20%가량 올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개인 직거래 비중은 전체 거래량의 7∼8% 수준"이라며 "개인 직거래 증가가 전체 천일염 수급과 산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신안군수협은 2021년산 천일염 가격(20㎏)을 2만5000원에서 지난 8일 3만원으로 20% 올린 상태다.

송 차관은 "농·수협을 비롯한 생산자 단체에 서민경제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안정적인 가격수준을 유지해 달라고 적극 요청했다"며 "거래량과 가격이 그래도 오른다면 정부 수매 후 할인방출 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송 차관은 아울러 국내산 천일염이 안전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천일염 방사능 검사를 286회 실시했는데, 방사능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올해 4월부터 매달 염전 10개소에서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는데, 이 역시 방사능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송 차관은 "7월부터 연말까지 염전 방사능 검사 대상을 150개소로 확대하겠다"며 "이미 생산돼 보관하고 있는 천일염도 출하 시기 전후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어업인 피해 지원과 관련해 그는 "일본 오염수 방류로 국내 바다가 오염되고 이에 따라 우리의 어업활동이 불가능해질 것을 전제로 아직 발생하지도 않은 피해에 대한 보상과 복구를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국민 눈높이의 관점에서 사후적인 보상과 피해복구를 논의하기보다는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수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했다.

지난 12일 국회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어업인 피해 지원과 해양환경 오염 복구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특별법안이 발의됐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