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내 무인기 '원샷 원킬'…레이저무기 내년 현장배치

韓전자전 능력 업그레이드

7년내 출력 높여 함정 장착
전차, 장갑차 소리없이 파괴
휴대용 무기 개발도 서둘러
방위사업청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적군의 드론 등을 타격할 수 있는 ‘레이저 대공무기’를 양산하고 전력화에 나선다.

16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군은 한화에어로가 제조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상상도)을 내년 현장에 배치한다. 20㎾ 출력을 지닌 이 레이저는 3㎞ 거리의 드론과 무인기를 타격할 수 있다.레이저 대공무기 연구개발을 이끌어 온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지난달 시험평가에서 이 무기가 전투용으로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렸다. ADD와 한화에어로는 출력을 30㎾로 높인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를 2030년까지 개발해 항공기, 함정, 차량 등에 장착할 계획이다. 군은 국방기술진흥연구소를 통해 지난해 레이저 빔으로 표적을 파괴할 수 있는 휴대용 무기 개발에도 착수했다.

세계 각 군은 미래 전쟁 양상을 바꿀 레이저 무기 개발에 한창이다. 레이저 무기 사용을 두고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지난 2월 필리핀 해양경비대가 “중국 함정이 우리 함정에 레이저를 두 차례 조준했다”고 주장하면서 양국 간 갈등이 고조됐다. 호주 국방부는 전차(탱크) 장갑을 뚫을 수 있는 수준의 레이저 무기 개발을 최근 시작했다. 지난해 2월 중국 함정이 호주 정찰기에 레이저 빔을 발사하며 위기감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미군은 출력 50㎾ 레이저 개발을 완료해 함정에 시험 설치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레이저 출력이 ㎿급으로 높아지면 소음 없이 전차, 장갑차 등을 파괴할 수 있어 현재의 작전 체계는 무용지물이 된다”며 “핵심 부품 개발, 경량화 등 전력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