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급 주택값, 금융위기 이후 첫 하락

각국 고강도 긴축 후폭풍

부동산 위축…집값 0.4% 떨어져
30곳 올랐지만 16곳 낙폭 더 커
금리 동결해도 당분간 하방 압력
세계 주요 도시의 고급 주택 가격이 14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시작된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고가 부동산 시장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의 고급 주택 가격은 지난 1년 새 9% 떨어져 조사대상 46개국 중 아홉 번째로 하락폭이 컸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부동산 정보업체 나이트프랭크가 발표한 ‘최고급 글로벌 도시 지수(PGCI: Prime Global Cities Index)’에 따르면 1분기 세계 46개 주요 도시의 고급 주택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0.4% 하락했다. PGCI는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가격 기준으로 상위 5%인 주택의 가격 추이를 나타낸다.PGCI가 전년 대비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처음이다. 팬데믹 이후 급등한 PGCI는 2021년 4분기에 9.8% 오르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후 상승률은 둔화했다. 직전 분기인 4분기에는 3% 올랐다. 리암 베일리 나이트프랭크 연구책임자는 “세계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상이 글로벌 고급 주택 가격 하락의 주된 원인”이라고 짚었다.

46개 도시 중 상위 5% 고급 주택 가격이 떨어진 도시는 16곳, 상승한 곳은 30곳이다. 가격이 오른 곳이 더 많은데도 평균이 떨어진 건 나머지 16개 도시의 낙폭이 컸기 때문이다. 이 중 6곳은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하락률이 가장 큰 도시는 뉴질랜드 수도 웰링턴으로 고급 주택 가격이 1년 전 대비 27.2% 급락했다. 캐나다 토론토(-13.4%)와 스웨덴 스톡홀름(-11.0%)도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미국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도시는 실리콘밸리가 있는 샌프란시스코로 이 기간 고급 주택 가격이 9.7% 떨어졌다. 뉴욕(-0.7%)과 로스앤젤레스(-0.5%)도 하락했다.

반면 고급 주택 가격이 오른 도시 30곳의 상승률은 대부분 한 자릿수에 그쳤다. 8곳을 제외한 22곳은 상승률이 5%를 밑돌았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44.2%)와 미국 마이애미(11.0%)만 예외였다. 두바이는 적극적인 외국인 유치 정책으로 러시아와 이스라엘 등 각국의 부자들을 끌어들여 집값이 급등하고 있다.서울은 최근 1년간 고급 주택 가격이 9%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하락률 기준 46개 도시 중 9위다. 지난해 1분기엔 20.2% 오르며 전체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다. 올해는 시장이 조정받으며 도쿄(2.1%)에 한참 뒤졌다.

나이트프랭크는 세계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2009년만큼 심각하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6월 금리 동결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한몫하고 있다. 베일리 연구책임자는 “향후 세계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동결해도 글로벌 집값은 몇 분기 동안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현재로서는 집값이급락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