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마이크론 공백, 한국이 메우면 안 돼 "…FT "尹, 난처해졌다"

FT,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백악관 발언 인용
"마이크론 규제시 삼성·SK 중국 판매 자제해야"
(지난해 5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방문 당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이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의 칩 판매를 금지할 경우 이로 인한 한국 기업이 시장 공백을 메우지 말아달라고 우리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시간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백악관과 대통령실 등의 소식통 4명을 인용해 "마이크론이 판매 금지 조치를 당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판매를 늘리지 않도록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미국 백악관의 이러한 요청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공개됐다.

이를 두고 미국 정부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중국 반도체 견제에 한국의 동참을 압박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인도·태평양 역내 안보차원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맹국들과 협력해왔지만, 자국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행동을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앞서 중국은 이달 들어 전세계 D램 메모리 반도체 3대 업체인 미국 마이크론에 대한 국가안보 침해를 이유로 조사에 착수했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해 10월 시행한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대한 보복 성격으로 풀이된다.

마이크론은 중국 지역 매출 비중이 2018년 58%에서 지난해 25%로 줄었으나 이번 수출 규제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된다.메모리 반도체 업계는 올해 1분기 D램 가격이 하락하는 등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감산에 돌입한 상태다.

FT는 이번 보도에 대해 "미 백악관이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면서도 "양국이 첨단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포함해 경제 안보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는 역사적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소식통은 이번 요청에 대해 "중국이 마이크론을 미국 정책에 영향을 주는 지렛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FT는 "한국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불분명하지만, 윤 대통령이 난감한 입장에 처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보도에 대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한국 정부로부터 관련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