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고개 숙여 사과했지만…제주 4·3 유족 "징계 피하려는 쇼"

'제주4·3 발언 논란' 김재원 제주 찾아
"유족과 도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일부 유족들 항의하며 자리 박차고 나가
제주4·3을 비하하는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20일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 대회의실에서 4·3유족 대표들에게 사과하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사진=뉴스1
제주4·3 기념일의 격이 낮다는 취지로 발언해 논란을 일으켰던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제주를 찾아 제주4·3 유족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했다. 그러나 4·3 유족들은 사과에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최고위원은 20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유족과 만나 "제 잘못으로 상처 입은 유족과 도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하며 머리를 숙였다.김 최고위원은 "방송 인터뷰에서 말씀드린 것은 4·3 추념일을 폄훼하거나 유족들을 폄훼할 생각이 아니었다"며 "(방송 당시) 나름대로 조심하면서 당일 신문기사를 참고해서 읽었던 것인데 방송이 끝나고 난 뒤에 잘못을 알게 됐다. 부주의하게 유족분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4·3 유족들과 관계자들은 "단순히 자신의 실수, 과오를 털기 위한 자리가 돼선 안 된다"며 최고위원으로서 국민의힘의 반복된 4·3 폄훼에 대한 입장과 재방방지 약속, 공식적 입장을 가지고 왔어야 한다고 항의했다. 4·3 유족단체 중 일부는 "진정한 사과가 아니다", "징계받지 않으려는 쇼"라며 회의실을 박차고 나가기도 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숙하는 기간이어서 당의 입장을 들고 와 발표할 사정이 아니다. 당 지도부에도 개인적인 잘못을 사과하는 자리로 말씀드리고 왔다"며 "이를 꾸짖는다면 달게 받겠다"고 전했다.제주 4·3을 모욕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할 경우 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하 4·3특별법) 개정안의 통과 등에 함께할 수 있겠느냐는 유족의 질문에 "그런 부분 포함해서 유족의 마음을 치료하는 일 등에 앞장서겠다"고 답변했다.
제주4·3을 비하하는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이 20일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위패봉안실에서 4·3 영령에 사죄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민의힘은 잇따른 실언으로 도마 위에 오른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김 최고위원은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전광훈 목사 우파 천하통일', '제주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 등 논란성 발언을 반복하다 지난 4일 공개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태 최고위원 역시 '제주 4·3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라거나 '백범 김구 선생이 김일성의 통일전선 전략에 당했다'는 취지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끝에 스스로 당 윤리위 심사를 요청하겠다고 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