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0억달러 쏠린 美 MMF…"부채 한도 대치에 '손실 폭탄' 우려"
입력
수정
미국 정치권의 부채 한도 협상이 극한 대치를 계속하면서 머니마켓펀드(MMF)가 유동성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MMF는 미 금융권의 줄도산 후폭풍 이후 '대안 투자처'로 꼽혔다. 그러나 MMF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초단기 미국 국채에 쏠려있다는 점에서 연방정부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부채 한도 협상을 둘러싼 정치권의 교착상태로 인해 MMF의 손실 폭탄이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데이터 제공업체 EPFR에 따르면 3월 초 이후 현재까지 MMF에는 총 4400억달러(약 528조원) 이상의 자금이 쏠렸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금융 위기에 대한 공포심이 커지자 단기성 안전자산인 MMF을 찾는 투자자들이 폭증한 것이다.MMF는 주로 환매조건부채권(RP), 양도성예금증서(CD), 만기가 짧은 초단기 국채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한다. 작년부터 미 중앙은행(Fed)의 고강도 긴축(금리 인상)으로 수익률이 이전보다 높아진 데다, 지난달 SVB 파산 이후 안전 투자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MMF는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미 연방정부의 차입 한도 인상을 놓고 공화당과 민주당이 극한 대립을 계속하면 MMF가 단기 채권을 사고 파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 연방정부 부채는 올해 1월 법정 한도(31조4000억달러·약 4경800조원)에 도달했지만, 의회는 한도 증액 협상을 타결하는 데 실패했다. 대신 재무부의 특별조치로 오는 6월까지 협상 시한을 벌어둔 상태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18일 연간 세금 납부 마감일 이후 연방정부가 거둬들인 세수 규모가 3000억달러에 못 미칠 경우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현실화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 채권 투자자들은 7월말~8월초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 FT는 "지난주 진행된 3개월 만기 국채 경매에서 수요가 급랭한 것을 확인했다"며 "연방정부의 디폴트 공포에 관한 군중심리로 인해 MMF 고객들의 자금 인출 요청이 급증하면 펀드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미국 온라인 증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은 "MMF 업계가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를 걱정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이 실제로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지만, MMF 업계에 유동성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BC 글로벌 자산 운용사의 안제이 스키바 수석위원도 "부채 한도 논란은 특히 정부 MMF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최근 은행권 위기 속에서 연방정부의 차입 능력이 고갈되면 MMF에 상당한 변동성이 발생하고 인출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MMF가 초단기 국채 투자를 줄이면 상대적으로 역환매조건부채권(RRP·역레포) 투자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역레포는 금융회사가 하루 동안 Fed에 현금을 예치하고 국채를 받는 식으로 이뤄지는 초단기 거래를 뜻한다. 역레포 금리가 지난달 연 4.8%까지 상승하자 MMF 자금의 40% 이상이 역레포에 쏠려 은행권의 돈맥경화 위기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부채 한도 협상을 둘러싼 정치권의 교착상태로 인해 MMF의 손실 폭탄이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데이터 제공업체 EPFR에 따르면 3월 초 이후 현재까지 MMF에는 총 4400억달러(약 528조원) 이상의 자금이 쏠렸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금융 위기에 대한 공포심이 커지자 단기성 안전자산인 MMF을 찾는 투자자들이 폭증한 것이다.MMF는 주로 환매조건부채권(RP), 양도성예금증서(CD), 만기가 짧은 초단기 국채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한다. 작년부터 미 중앙은행(Fed)의 고강도 긴축(금리 인상)으로 수익률이 이전보다 높아진 데다, 지난달 SVB 파산 이후 안전 투자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MMF는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미 연방정부의 차입 한도 인상을 놓고 공화당과 민주당이 극한 대립을 계속하면 MMF가 단기 채권을 사고 파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 연방정부 부채는 올해 1월 법정 한도(31조4000억달러·약 4경800조원)에 도달했지만, 의회는 한도 증액 협상을 타결하는 데 실패했다. 대신 재무부의 특별조치로 오는 6월까지 협상 시한을 벌어둔 상태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18일 연간 세금 납부 마감일 이후 연방정부가 거둬들인 세수 규모가 3000억달러에 못 미칠 경우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현실화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 채권 투자자들은 7월말~8월초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 FT는 "지난주 진행된 3개월 만기 국채 경매에서 수요가 급랭한 것을 확인했다"며 "연방정부의 디폴트 공포에 관한 군중심리로 인해 MMF 고객들의 자금 인출 요청이 급증하면 펀드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미국 온라인 증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은 "MMF 업계가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를 걱정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이 실제로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지만, MMF 업계에 유동성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BC 글로벌 자산 운용사의 안제이 스키바 수석위원도 "부채 한도 논란은 특히 정부 MMF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최근 은행권 위기 속에서 연방정부의 차입 능력이 고갈되면 MMF에 상당한 변동성이 발생하고 인출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MMF가 초단기 국채 투자를 줄이면 상대적으로 역환매조건부채권(RRP·역레포) 투자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역레포는 금융회사가 하루 동안 Fed에 현금을 예치하고 국채를 받는 식으로 이뤄지는 초단기 거래를 뜻한다. 역레포 금리가 지난달 연 4.8%까지 상승하자 MMF 자금의 40% 이상이 역레포에 쏠려 은행권의 돈맥경화 위기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