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끝났는데 뉴욕 공실률 최고

재택근무 정착으로 사무실 텅텅
재개발 된 신축으로 쏠림도 한몫
미국 뉴욕의 중심부인 맨해튼의 사무실 공실률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재택근무가 확산하자 사무실 수요가 줄어서다. 재개발을 끝낸 신축 빌딩이 늘어나는 것도 공실률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증권사 존스랑라살(JLL)의 조사를 인용해 올해 1~3월 맨해튼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이 사상 최고치인 16%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임대율은 2021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앤드루 임 JLL 이사는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가 없진 않지만 워낙 부동산 시장이 위축돼 빈 사무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뉴욕 센트럴파크와 록펠러센터 사이에 있는 맨해튼 660-5번가 리모델링이 마무리되면서 사무실 공급량은 더 늘었다. 올해 1분기 이곳에서 새로 추가된 사무 공간은 13만9354㎡에 달한다.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 브룩필드가 4억달러를 들여 이곳을 재개발했다.

반면 입주 수요는 감소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뒤 뉴욕에선 1주일에 사흘만 출근하는 제도가 정착됐다. 재택근무가 확산한 뒤 뉴욕시의 지난해 경제적 손실은 124억달러로 추산됐다. 뉴욕 직장인 한 명당 식사, 쇼핑, 음주 등에 대한 평균 지출이 코로나 팬데믹 이전보다 연 4661달러 줄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남은 수요는 신축 빌딩으로 쏠리고 있다.

상업용 빌딩을 주거용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사무실 공간을 재창조하고 빈 공간을 주택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건물은 즐비한데도 (우리는) 주택 위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애덤스 시장이 지속해서 사무실 복귀를 강조하는 것도 이 같은 도심 상권을 의식해서다. 그는 “뉴욕에 본사를 둔 기업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에게 1주일에 며칠은 사무실에 돌아오라고 말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