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년세대 71% "한일관계 개선될 필요 있다"

전경련 전국 2030대 설문조사 결과
개선 필요 이유는 '경제적 이익 확대" 위해
일본에 대한 긍정비율 20대가 30대보다 높아
한국의 청년세대의 7할이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한 의견을 갖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16~21일 여론조사 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0~30대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71%였다고 27일 발표했다. 양국간 관계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73.1%)가 30대(68.7%)보다 더 높았다.한일 관계 개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양국협력을 통한 상호 경제적 이익 확대'라고 답한 응답자가 45.4%로 가장 많아 청년세대는 경제적 이유를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상호협력을 통한 중국의 부상 견제'(18.2%) '북핵 대응 등 동북아 안보협력 강화'(13.3%) 등의 순이었다.

이들의 일본에 대한 인상은 긍정(42.3%)이 부정(17.4%)보다 많았다. 특히 긍정비율은 20대(44.7%)가 30대(39.7%)보다 높았고, 부정 비율은 더 낮아 연령이 낮을 수록 일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는 편이었다.



청년세대는 한일간 관계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가치에 대해선 미래(54.4%)라고 답한 비율이 과거(45.6%)보다 높았다.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할 사안으로는 '한일 상호 공통의 역사 인식 조성 노력이 41.6%로 가장 많았고, '양국 경제산업 분햐 협력 강화'(32%) 등의 순이었다. 한일관계가 틀어진 강제징용문제 해법으론 최근 거론되고 있는 제3자 대위변제 방안(양국 민간 및 기업이 자발적으로 내는 기부금으로 피해자에게 배상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청년세대의 절반 이상이(52.4%) 관련 방안 추진 시 한일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했다. 이 답변에선 30대(56.2%)가 20대(49.1%)보다 더 높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일본여행 등 양국 교류가 많아지면서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인상이 부정적 인상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양국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청년 세대의 양국관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는 관계 개선을 위해 지 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