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KT, 싱가포르 최대 통신사와 맞손…글로벌 확장 나선다

가입자 7억7000만명 싱텔과 협업
'상호 협력위원회' 꾸려
데이터센터·AI·디지털전환 글로벌 확장 도모
KT가 싱가포르 최대 통신사와 손잡고 글로벌 확장에 나선다. 라이센스를 통하는 기존 모델이 아니라 자체 기술과 솔루션을 수출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그간 국경을 벗어나지 못해 내수 기업에 그쳤던 국내 통신사의 한계를 디지털플랫폼 기업(디지코) 모델로 넘어보겠다는 구상이다.

2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최근 싱가포르 싱텔과 양사 간 상호 협력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구현모 KT 대표와 위엔 콴 문 싱텔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위원회다. KT가 해외에서 인수한 자회사를 통해서가 아니라 기업 본체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는 신호탄이다. 싱텔은 싱가포르,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을 비롯해 총 21개국에서 7억7000만명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KT의 고위 관계자는 “그간 통신사가 시도했던 해외 라이선스 사업은 이젠 사실상 먹거리가 없지만, 각국에서 디지털 전환(DX)이 빨라지면서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새 시장이 커지고 있다”며 “이에 주목해 지난해부터 양사 간 협력에 대한 본격 논의를 벌여왔다”고 설명했다.

KT는 이를 통해 싱텔과 글로벌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디지털전환(DX) 사업 등을 협력할 전망이다. 양사 간 협력위는 아시아 각국에서 초거대(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연합 사업을 벌이는 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기존에도 다른 사업자들의 데이터센터를 설계·구축·운영해주는 ‘DBO 사업’, 타 사업자 데이터센터에 KT의 운영 체계와 솔루션 등을 적용하는 브랜드 데이터센터 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해외에서 KT가 데이터센터 설계와 운영체계 등을 담당하고, 물리적 인프라는 현지 사업자가 조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싱텔은 인도네시아 바탐, 태국 방콕 등에서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 DX사업도 키운다. 국내에 비해 AI·DX 확산이 상대적으로 늦은 동남아 지역에서 사업을 빠르게 키울 수 있다는 판단이다. KT는 최근 싱텔을 통해 필리핀 통신사 글로브와 소상공인용 AI컨택센터(AICC) 솔루션 협업에 들어갔다. 글로브는 싱텔이 지분 약 21%를 보유하고 있다.
일각에선 향후 KT와 싱텔이 합작 투자 등을 벌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협력위원회를 통하면 단순히 특정 사업에 대한 업무협약(MOU) 이상의 시너지를 낼 수 있어서다. KT는 미디어 사업 중간지주사 격인 KT스튜디오지니 산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즌을 CJ ENM 계열 OTT 티빙에 합병시키기에 앞서서도 CJ ENM과 양사 간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사업협력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했다.

두 기업이 이같은 협력에 나서는 건 이동통신 시장을 넘어선 새 수익원을 찾기 위해서다. 각국 기업과 협업해 서비스와 플랫폼을 서로 교환하면 사업 현지화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확 줄일 수 있다. 싱텔은 작년 말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SK텔레콤과 메타버스 공동사업을 벌이기로 손잡았다. 이는 구현모 대표가 올들어 언급한 ‘3차원 디지코 전략’의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지난 3년간 기성 통신사업에 디지털플랫폼사업 더해 사업 규모를 키운 게 '2차원 확장'이면 아예 다른 나라 기업, 다른 산업 기업과 사업을 연결·성장시키는 게 '3차원 확장'이라는 설명이다. 구 대표는 오는 27일 싱텔과 함께 하는 MWC 기조연설에서 양사 간 협력안 청사진을 발표한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