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철강·반도체 일자리 늘고 섬유는 감소 전망"

'2023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사진=뉴스1
올해 상반기 철강·반도체 일자리는 늘어나고 섬유 일자리는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을 30일 발표했다.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고용 증가율이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이면 '감소'로 분류된다.

전망 대상 업종은 국내 8대 제조업(기계·조선·전자·섬유·철강·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와 건설업, 금융보험업이다.

업종별로 전망을 살펴보면 반도체 업종 상반기 고용 규모는 1년 전보다 1.6%(2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호재로는 계속되는 설비 투자, 악재로는 세계 시장 축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언급됐다.반도체협회는 지난해 역대 최고치(1292억달러)를 찍었던 수출액이 11% 감소해 115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철강 고용은 작년 동기 대비 1.7%(2000명) 증가하겠지만 증가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조선업 철강 수요 증가로 내수가 늘어나지만, 철강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기 때문이다.

섬유 업종 고용은 1년 전보다 1.8%(3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먹구름이 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시장의 수요가 줄고 달러 강세가 진정되면서 수출이 감소하는 탓이다.

고금리와 고물가로 내수 증가세도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기계·조선·전자·자동차·디스플레이·건설·금융보험은 작년 상반기와 비교할 때 고용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수주가 감소하는 건설업은 고용이 1.1%(2만2000명) 감소하고,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금융보험업은 고용이 0.7%(5000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일자리 전망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경제활동인구 조사 등을 토대로 산출됐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