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검색엔진 따라잡겠다"…MS, 오픈AI에 대규모 투자

양사 100억弗 투자 협의 보도
MS 제품에 '챗GPT' 적용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아마존, 구글 등과의 경쟁에 쓸 무기로 인공지능(AI) 기술을 낙점했다. AI 업체인 오픈AI에 수년간 수십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MS는 “AI 혁신에 속도를 내기 위해 수년간 오픈AI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10일 미국 매체인 세마포는 “MS가 오픈AI와 100억달러(약 12조3500억원) 규모 투자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사진)는 “최첨단 AI 연구를 진보시키고 AI를 신기술 플랫폼으로 널리 보급하려는 양사의 포부에 맞춰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오픈AI는 2015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프로그래머 겸 투자자인 샘 앨트먼 전 와이콤비네이터 사장 등이 다른 투자자와 함께 세운 AI 기술 개발사다. 레이드 호프먼 링크트인 창업자, 피터 틸 페이팔 공동창업자, 인도 정보기술(IT) 업체인 인포시스 등이 자금을 댔다. 오픈AI는 지난해 4월 그림을 그리는 AI인 ‘달리2’를 선보였다. 달리2는 또 다른 AI 이미지 생성기인 미드저니와 함께 미술계에서 AI 그림의 예술성에 대한 논쟁을 일으킬 정도로 화제가 됐다. 지난해 11월엔 사람처럼 글을 쓰는 챗봇인 ‘챗GPT’도 출시했다.

오픈AI에 대한 MS의 투자는 2019년, 2021년에 이어 세 번째다. 2019년엔 10억달러를 투자하는 조건으로 오픈AI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독점했다. 2021년 계약은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에 MS는 “자사 제품을 통해 오픈AI의 AI 모델을 배포하겠다”며 자사 소프트웨어 전반에 AI를 도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당장 AI 접목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사업은 MS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다. MS는 최근 달리2와 같은 AI 모델을 탑재한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출시했다.

장기적으론 세계 최대 검색엔진인 구글과의 경쟁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애널리스트는 “MS의 검색엔진인 ‘빙’의 시장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MS는 검색 기능과 언어 모델을 개선해 구글의 시장 점유율을 뺏어오려 할 것”이라고 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