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효과에 수익률까지…올해 포트폴리오엔 金칠 해볼까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198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분산투자를 강조하며 한 말이다. 하지만 이 유명한 투자 격언을 따라가기 힘든 환경이 최근 펼쳐지고 있다. 작년부터 주식과 채권 가격이 같이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면서다. 증권가에선 분산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주식과 상관성이 낮은 금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올해는 경기 침체 우려, 달러 강세 완화 영향으로 높은 수익률까지 기대해볼 만하다는 평가다.

◆“당분간 주식 변동성 방어엔 채권보다 금”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코스피지수는 5.9% 올랐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달 30일 연 3.730%에서 전날 연 3.444%로 하락했다. 채권 금리 하락은 채권 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채권이 주식 가격을 따라가는 현상은 작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S&P500지수와 미국 국채 10년물의 상관계수는 0.4로 2008년 금융위기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코스피지수도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2.255%에서 연 3.735%로 오를 동안(채권 가격이 하락할 동안) 25% 가량 떨어졌다

주식과 채권이 같이 움직이자 분산투자자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작년처럼 주식과 채권 가격이 같이 떨어지는 위험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통적 분산투자 방법에 따라 주식과 채권 비중을 6 대 4로 유지하는 ‘아이셰어즈 코어 그로스 얼로케이션 상장지수펀드(ETF)’의 작년 수익률은 -15.3%를 기록했다. 상장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증권가에선 주식 변동성을 방어하는 채권의 역할이 제한적일 땐 금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주식과 채권 가격이 모두 하락할 때에도 금은 이 자산들의 수익률을 따라가지 않는 경향을 보여서다. 지난 한 해 국제 금 선물의 온스 당 가격은 1% 올랐다. 국공채, 주식이 같은 기간 모두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하재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른 원자재와 주식의 상관관계가 높았던 2000년 이후에도 금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유지했다”며 “채권의 역할이 제한적인 시기에는 금 편입을 통해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금 펀드 수익률도 ‘高高’

금을 통해 분산투자 효과 뿐만 아니라 수익률도 노려볼 만하다. 경기침체 우려, 달러 강세 완화 영향으로 금의 가치가 뛰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국내 금펀드 12개의 최근 한 달 평균 수익률은 8.44%다. 국내주식형 펀드 수익률(3.22%), 국내채권형 펀드 수익률(0.98%)보다 높다. 황병진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더 뛸 것으로 예상한다”며 “금 가격의 장기 목표치를 2100달러로 높인다”고 했다.

금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KODEX 골드선물(H) ETF’ 순자산은 한 달 새 210억원 늘었다. 3개월 새 391억원이 순유입됐다. ‘하이월드골드증권자투자신탁(H)’ 순자산은 3개월 새 160억원 증가했다.

하재석 연구원은 “작년보다 그 정도가 약할 수 있어도 올해 주식과 채권은 계속 양의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며 “금 가격의 상승 여력까지 큰 상황에선 채권 대신 금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효과적”이라 했다.

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