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년 만에 '호주 석탄' 수입 재개

경기하강 국면 속 활로 절실
'경제 보복' 끝내고 관계개선 시동
중국이 2년여간 중단했던 호주산 석탄 수입을 재개했다. 지난해 12월 수출이 급감하는 등 경기 하강이 지속되자 대외 관계 개선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는 분석이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광둥성 세관은 이날 성 정부로부터 호주산 석탄 통관을 허용한다는 통지를 받았다. 앞서 중국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 3일 바오우강철, 다당그룹, 중국화넝그룹, 중국에너지투자공사 등 국영기업에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를 허용했고, 일부 업체가 호주에 발주했다.

중국은 2020년 말께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호주가 코로나19 기원을 놓고 중국에 대해 국제 조사를 벌일 것을 요구하자 경제적 보복에 나섰다. 호주가 쿼드(Quad)·오커스(AUKUS) 등 중국 견제 성격의 안보 동맹에 가입한 것도 양국 관계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WSJ는 이번 수입 재개와 관련, “중국이 경기침체에 대응하면서 외교적으로 대외 강경 정책을 완화하고 있는 신호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5월 진보 성향인 노동당의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집권한 이후 호주도 양국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세계 최대 석탄 소비국인 중국의 호주산 수입 중단은 세계 석탄 무역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호주는 세계 2위 석탄 수출국이며, 분쟁 전까지 중국은 호주의 석탄 수출물량 중 4분의 1가량을 수입했다. 중국은 이후 인도네시아와 러시아 수입을 늘리고 자체 생산도 확대했다. 호주는 중국 수출이 막히자 인도와 유럽 등으로 선적 물량을 늘리며 고정 고객을 확보했다.

중국이 이처럼 대외 관계 개선에 나선 것은 경기 둔화가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관세청은 작년 12월 수출이 2021년 같은 달보다 9.9% 줄어든 3060억달러(약 380조원)로 집계됐다고 13일 발표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한 2020년 1~2월의 -17.2% 이후 34개월 만의 최저 기록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