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민영화 속도…해수부 "매각 컨설팅 추진"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협의"
사진=연합뉴스
해양수산부가 4일 “HMM 경영 정상화에 따라 경영권 매각 타당성 검토, 인수 후보군 분석 등을 위한 컨설팅을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추진하겠다”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새해 업무보고에서다. 국적 컨테이너선사인 HMM의 민영화 속도가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전날 출입기자 대상 사전 브리핑에서도 “HMM의 경영권 민간 이양을 위한 여건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HMM을 관계기관과 협의 없이 급하게 매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금융위원회와 산업은행, 해양진흥공사가 해운시장의 불확실성, 경제 상황, 증권 시황 등을 점검하면서 매각 계획을 어떻게 할지 협의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해수부는 그동안 HMM 민영화 완료 시기를 2025년 말께로 예상해왔다. 조 장관은 지난해 9월 대우조선해양의 정부 지분과 경영권을 한화에 매각하기로 한 뒤 시장에서 HMM 민영화 가능성이 거론되자 “HMM을 대우조선해양처럼 지금 바로 팔 일은 없다”며 “HMM 민영화의 원칙은 분명하지만 시기는 신중하게 가겠다”고 했다.

HMM은 산업은행(20.96%)과 해양진흥공사(19.96%) 등 공공부문이 지분을 45%가량 보유하고 있다. 영구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까지 모두 주식으로 전환되면 공공지분은 74%로 높아진다.

해운 운임 1년새 80% 급락…업황 악화, HMM 매각 변수

산업은행은 HMM을 인수할 수 있는 잠재 후보군을 물색 중이다. 산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복수의 기업을 상대로 HMM 매각과 관련한 시장 상황을 파악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하지만 HMM 매각이 단시일 내에 이뤄지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세계 경기가 침체하면서 해운 운임이 1년 만에 80% 이상 떨어진 게 변수다. 10~20년 주기로 짧은 호황과 긴 불황이 반복되는 해운업 특성상 당분간 HMM 기업가치가 하락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HMM 인수 후보를 찾는 게 어려워진다.

한편 해수부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해운업 불황 타개를 위한 대책을 보고했다. 우선 고위험 선사 구조조정과 인수합병(M&A) 지원을 위해 1조원대 위기대응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어려움에 처한 해운사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선박을 해외에 매각하는 걸 막기 위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선박 50척을 매입한 뒤 국적선사에 임대하는 공공선주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중소·해운사 위기 대응 등에도 3000억원을 투입한다. 미국, 동남아시아 거점 항만 터미널 등 물류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핫이슈